~이웃사랑방~/생활정보

[스크랩] File Extension (파일 확장자) 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자! 컴퓨터과학개론

김안토니오 2014. 1. 3. 15:17

11. File Extension (파일 확장자) 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자! 컴퓨터과학개론

2010/11/22 03:38

복사 http://blog.naver.com/kykps2/120118867242

11챕터에서는 파일시스템과 디랙토리에 대해서 공부해 보았는데요, 저는 책에서 File Extension이란 단어를 보고 파일 확장자에는 무엇이있고 또 얼마나 많은지 궁금해져서 이렇게 포스팅을 하게되었습니다. 확장자는 피일 이름의 마지막 점 뒷부분으로 파일의 종류와 그 역할을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오디오 파일의 타입을 알려주는 확장자들은 mp3, au, wav등이 있습니다.

1990년대 초반, 'DOS'를 사용하던 시절에는 실행파일만 기억하면 되었기 때문에 확장자가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윈도우가 멀티미디어 환경을 지원하고, 인터넷 시대가 오면서 수많은 확장자가 생겨났는데요. 수많은 동작을 처리하기 위해 확장자를 이용, 각각의 파일을 구별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컴퓨터의 보급과 그에따른 여러 프로그램의 급격한 증가 확장자 종류를 증가시키는데 한 몫 했습니다. 따라서 현재는 확장자 종류가 너무 많아서 헷갈리고 머리아프기도 하죠.

파일 확장자는 용도나 프로그램명과 비슷하게 지어집니다. txt는 문서파일, jpg, png, gif 등 그래픽파일을 나타내듯이 말이죠.

확장자는 메타데이터로서 데이터가 가진 정보를 보충하기 위한 또 하나의 데이터 입니다. 덕분에 하드디스크의 저장 공간이 부족한데 무엇을 지워야 할지 모르는 경우나 새로 내려받은 파일을 윈도우가 자동으로 연결해 주지 않을 때 확장자를 이용해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말고 다른 운영체제들은 확장자 말고 다른 방식으로 파일타입을 알아냅니다. 유닉스같은 경우 파일 내용으로 종류를 추측해냅니다. 물론 이 경우의 파일에도 고유한 넘버나 코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애플은 고유 종류 식별자(UTI)가 확장자를 대신합니다.

 

그럼 주요 확장자의 종류를 약간의 설명과 합께 알아봅시다!밑의 자료는 어떠한 블로그에서 찾아 내었습니다.

 

01 *.TXT

가장 기본적인 문서파일이라 할 수 있다.
TXT파일은 어떤 운영체제에서도 읽을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설명서 제작등에 많이 사용된다.

 

02 *.DLL

Dynamic Link Library의 약자로,
혼자 실행되지 않지만 EXE파일을 실행하는데 도우미 역할을 한다.

 

03 *.EXE

PC에서 가장 기본적인 실행 파일이다. Execute의 약자로,
도스용 프로그램과 윈도우용 프로그램 모두 공통된 확장자를 사용한다.

 

04 *.AVI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동영상 파일이다.
Audio Video Interleaved의 약자로 본래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에서 지원하는
동영상 파일에 사용된 확장자이다.

 

05 *.GIF

그래픽 파일의 하나로 256색 이하의 그래픽에 가장 최적화 되어
웹사이트의 아이콘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06 *.ZIP

DOS시절부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압축 파일로
Winzip, Pkzip등의 프로그램으로 압축 해제가 가능하다.

 

07 *.RAR

Winrar등의 압축 파일입니다.
속도가 빠르고 압축률이 높으며 도스시절부터 분할압축등을 지원하여
많이 사용되는 파일중 하나다.

 

08 *.ALZ

국산 압축프로그램인 ALZIP의 압축파일 입니다. 분할압축기능과 암호기능등이 있고
알집은 ALZ 이외에 다른 압축파일까지 압축/해제가 가능하다.

 

09 *.PPT

MS 파워포인트용 문서 파일로서 프리젠테이션용으로 사용된다

 

10 *.HWP

유명한 한글과 컴퓨터의 한글 확장자.

 

[ OA 확장자 ]

11 *.XLM

MS사의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인 엑셀의 매크로 파일.

매크로란 반복되는 작업을 녹음기처럼 기록하여 한번에 명령하는 것을 말한다.

 

12 *.XLS

엑셀의 데이터 파일로 워크시트 파일이라고 부른다.
스프레드시트인 엑셀은 장부를 만드는 프로그램으로 가계부, 계산서, 재고 관리에서
차량 관리, 실적 분석 등의 통계 작업도 할 수 있다. XLT 엑셀의 서식 파일이다.

 

13 *.ASV

한글의 자동 저장 파일. 한글은 일정 시간마다 또는 자판을 사용하지 않을 때
PC에 문제가 생겨서 파일이 망가지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 ASV 파일을 만든다.

 

14 *.CSV

Comma-Separated Vaiues File의 약자로 띄어쓰기 대신 콤마로 분리된 텍스트 파일이다.
주로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추출할 때 사용한다. 파일 내부를 보면 띄어쓰기 대신
콤마가 찍혀있는 것을 볼 수 있다

 

15 *.DBF

Database File의 약자로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인 dBase에서 사용된다.

16 *.DOC

Documemtation의 약자로 문서 파일을 의미한다.
워드패드나 MS 워드에서 사용되지만 한글, 훈민정음 등
대부분의 문서편집기에서 지원된다.

 

17 *.DOT

MS 워드의 서식 파일.
서식 파일이란 일정한 양식이 있는 문서의 틀을 미리 만들어 놓은 것을 말한다.

 

19 *.GUL

삼성전자에서 개발한 훈민정음 문서 편집기에서 사용되는 문서 파일이다. 

 

20 *.HAD

한글과컴퓨터사의 주소록용 데이터베이스 파일이다.

 

21 *.HFT

Hangul Font Type의 약자로 한글에서 사용하는 글꼴 파일.
일반 윈도용 글꼴 파일과는 구조가 달라 서로 호환되지 않는다.

 

22 *.HWP (중복)

한글용 문서 파일이다.
문서에 표나 서식뿐 아니라 그림, 하이퍼텍스트 등의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다.

 

23 *.HWT

한글의 서식 파일. 한글에서는 문서마당이라고 표현한다.

 

24 *.KWP

한글에서 저장되는 행정 전산망용 공통 파일이다.
공공기관에서 사용되는 행망용 파일로 하나 워드 프로세서에서 사용 할 수 있다.

 

25 *.MDA

MS사의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인 액세스에서 사용되는 추가 기능 파일이다.

 

26 *.MDB

MS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인 엑세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파일.
급여 관리나 비디오 수집 등 각종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검색하는데 사용.

 

27 *.MDZ

MS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인 엑세스에서 사용되는 마법사 파일이다.

 

28 *.PDF

Portable Document FoRmat의 약자로 어도비사에서 개발한 문서 파일이다.
PDF 파일의 장점은 호환성에 있다. HWP나 GUL 등의 문서 파일은
전용 프로그램이 있어야 내용을 볼 수 있지만 PDF는 아크로백 리더라는 간단한
유틸리티 만으로 내용을 볼 수 있다.

 

29 *.PM

어도비사의 전문 출판 프로그램인 페이지 메이커 6.5에서 생성되는 문서 파일.
페이지메이커는 문서 편집기 이상의 기능으로 출판, 인쇄에 사용된다.

 

30 *.POT

MS사의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인 파워포인트의 서식 파일이다.

 

31 *.PPT

MS사의 파워포인트 데이터 파일이다. 

 

32 *.PWZ

MS사의 파워포인트의 마법사 파일이다.

 

33 *.RTF

Rich Text Format의 약자로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만든 문서 파일이다.

 

34 *.TXT (중복)

가장 단순한 형태의 문서파일. ASCII 구조로 되어있어 메모장이나

MS 워드등 어떤 문서편집기나 에디터에서도 읽을 수 있다.

 

35 *.WBK

MS워드의 백업 파일이다.
문서를 잘못 작성한 후 실수로 저장하면 되돌리지 못하므로 백업파일로
다시 복구한다. 마치 한글에서 저장하면 BAK라는 백업 파일이 생기는 과 마찬가지다.

 

36 *.WIZ

MS 워드의 마법사 파일이다.
봉투나 팩스 문서, 이름표 등 일련의 양식화된 문서를 따라하기 방법으로 만든다.
마법사로 완성된 데이터는 내용만 채운 후 출력하면 될 정도로 사용이 쉽다.

 

37 *.WRI

TXT와 같은 문서 파일. 윈도의 워드패드에 사용되며 TXT 파일과는 달리
글꼴의 모양이나 크기, 서식을 지정할 수 있다.

 

[ 시스템파일 확장자 ]

38 *.386

윈도에서 사용하는 386 확장 모드 드라이버 파일이며, Windows/system 폴더에 위치한다.

 

39 *.ANI

움직이는 마우스 커서 파일 Animation의 뜻을 가지고 있다.
탐색기에서 모양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기능보다는 액세서리의 용도로 사용된다.

 

40 *.ANS

도스용 안시(American National Sta-ndard) 파일의 확장자이다.

 

41 *.BAK

갱신되기 전의 파일 정보를 담은 백업 파일.
새로 갱신된 파일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bak 파일의 확장자 이름을 원래의
확장자 이름으로 변경하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42 *.BAT

도스의 배치 파일로 텍스트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응용 프로그램 실행시 관련 파일의 실행순서와 옵션을 지정한다.

 

43 *.BIN

Binary의 약자로 리얼모드 드라이버이다. 주요 bin 파일로는
드라이브 스페이스에 사용되는 dblpace.bin , drvspace.bin 등이 있다.

 

44 *.CAB

윈도에서 사용되는 압축 형식의 파일로 캐비닛 파일이라고 부른다.

 

 [ 멀티미디어 확장자 ]

45 *.AIF/AIFF

오디오 파일로 Audio Interchange File Format의 약자이다.
WAV처럼 샘플링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이다.

 

46 *.ASF

Advanced Streaming Format의 약자로
1996년 인텔이 만든 차세대 멀티미디어 파일 포맷이다.

47 *.AU

Audio의 약자로 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표준 오디오 파일.
AU파일은 자바 프로그램에서 오디오 파일로 사용되기도 한다.

 

48 *.AVI

Audio Video interleave의 약자로 디지털 비디오 파일이다.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만든 파일 포맷으로 윈도 환경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49 *.BMP

Bitmap의 약자로 윈도, OS/2 환경에서 사용하는 그래픽 파일.
BMP 파일은 흑백과 4비트, 8비트, 24비트의 포맷이 있으며, 각각 2색, 16색, 256색,
트루컬러를 표현한다.

 

50 *.CDA

오디오 트랙. 윈도95부터는 오디오 CD의 트랙을 CDA라는 확장자로 구분한다.
오디오 트랙은 Winamp 등의 사운드 플레이어에서 들을 수 있다.

 

51 *.CDR

그래픽 프로그램인 코렐드로의 데이터파일.

 

52 *.CGM

Computer Graphics Metafile의 약자로 2D 이미지 그래픽의 표준 포맷이다. 

 

53 *.CMX

Corel Presentation Exchange의 약자로
코렐드로의 벡터 파일을 인터넷으로 볼 수 있게 만든 포맷이다.

 

54 *.CUT

과거 도스 시절 닥터 할로라는 그래픽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그래픽 파일.

 

55 *.DCX

Multiple page Graphic PCX 파일로
기존 PCX 파일에 페이지 개념이 추가되어 하나의 그래픽 파일에

여러 페이지의 이미지를 포함한다. 이 파일 포맷은 팩시밀리에 사용하기도 한다.

 

56 *.DRW

마이크로그래픽스의 디자이너 프로그램용 그래픽 파일.
벡터방식으로 일러스트에 주로 사용된다.

 

57 *.DXF

Drawing Exchange Format의 약자로 오토데스크사의 CAD용 파일 포맷이다.

 

58 *.EMF

Enhanced Meta File의 약자로 WMF와 동일하지만 32비트로 화질이 개선된 규격이다.

 

59 *.GIF (중복)

Graphics Interchange Format의 약자로
PC통신 서비스 업체인 컴퓨서브에서 이미지 자료를 게시하기 위해 만든 파일 포맷이다.
비트맵 방식의 압축 형식으로 8비트 256컬러밖에 지원하지 못한다.

 

60 *.IFF

Amige Interchange File Format의 약자로 아미가 컴퓨터용 그래픽 파일.
그림뿐 아니라 텍스트도 함께 저장 할 수 있다.

 

61 *.IMG/GEM

DTP 프로그램인 벤추라(Ventura)에서 사용되는 이미지 파일.

 

62 *.JPG/JPEG

Joint Picture Experts Group의 약자로
이미지 압축 기술자 모임에서 만든 이미지 파일이다. Lossy Compression이라는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식으로 압축하여 화질의 저하 없이 파일을 압축한다.

 

63 *.KAR

노래방 파일로 MID 파일에 가사를 붙여 음악에 따라 가사가 스크롤되는 방식이다.

 

64 *.KDC

코닥 디지털 카메라에서 사용되는 촬영 이미지 파일.
KDC 파일은 압축모드와 비압축 모드의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JPG와 TIF와 구조가 비슷하다.

 

65 *.LBM

일렉트로닉아트사의 디럭스페인트(Deluxe Paint)에 사용되는 그래픽 파일 포맷.
IFF와 구조상으로는 동일하지만 PC에 사용하기 위해 확장자를 바꾼다.

 

66 *.M3U

오디오 압축 파일인 MP3의 목록 파일.
텍스트 형식으로 입력된 순서대로 MP3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67 *.MID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라는 디지털 뮤직 규격에 사용되는 음악 파일이다.
MIDI는 신시사이저, 전자드럼, 전자키보드 등의 전자악기 규격을 통일한 것으로
A라는 키보드에서 B라는 키보드의 음색을 연주할 수 있다.

 

68 *.MOV/QT

애플컴퓨터사의 동영상 파일 포맷.

 

69 *.MP1/MP2/MP3

압축된 오디오 파일이다.
동영상 압축 기술인 MPEG에서 탄생한 MP1, MP2, MP3는 MPEG-1의 오디오
압축을 위한 기술이다.

 

70 *.MPG/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의 약자로 압축된 동영상 파일 포맷이다.
AVI나 MOV에 비해 압축률이 우수하고 화질도 좋아 비디오 CD에 사용된다. 

 

약 70가지의 확장자에 대한 자료인데요, 컴퓨터를 하면서 흔히 볼수있는 친근한 확장자들도 많이 있는 반면 잘 모르고 있던 확장자들도 많이 보이네요.

위의 자료로는 부족하다! 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사이트 하나를 알려드릴까 합니다. 확장자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무궁무진하게 생기겠지만, 한 외국 사이트에서 "Every file extension in the world"라고 하면서 확장자들을 알파벳순으로 정리해 놓았더군요. 계속해서 수정을 하고 있다고 하네요. 물론 한국어는 아니고 영어입니다.

 

< 확장자 정리해 논 외국사이트 :

   http://whatis.techtarget.com/file-extension-list-A/0,289933,sid9,00.html >

 

그럼 이상으로 저의 블로그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출처 : http://blog.naver.com/james2021/30072438879

         http://bluemenyes.blog.me/100057285883

출처 : 은빛 소리샘
글쓴이 : 은하계곡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