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성당에서 번 돈은 다 어디에 쓰일까요 |
---|
- 글쓴이: 투자매니저™
- 조회수 : 7
- 08.04.01 16:57
![주소 복사](https://t1.daumcdn.net/cafe_image/cf_img2/btn_copy.gif)
성당에서 번 돈은 다 어디에 쓰일까요
정말 엉망인 교육제도를 가진 대한민국에 태어나서
X빠지게 공부하고있는 고딩입니다
저희 부모님 정말 성당이라면 질리게 다니시는.. 레지오 꾸리아 뭐 이런거 가입해서 정말 열심히다니시고 헌금 교무금 뭐 이런거 정말 되는만큼 갖다 퍼주시는 그런분입니다
저는 중학교때까지만해도 정말 성당에 헌금내면 대부분이 불우이웃돕기에 쓰이고 신부님들 밥매기고 그런데만 쓰이는줄 알고있었습니다
그리고 고딩이된지금. 우연히 부모님이 성당에서 가져오신 책자를 보게되었습니다 '2007년 세대별 교무금 납부현황' 거기에는 정확히 1974명의 천주교 신자의 이름과 그들이 1년간 낸 교무금의 액수가 적혀있었습니다 그렇게 그냥 쭉 넘겨보다가 마지막 페이지를 보고 놀라지않을수가 없었습니다 '총 합계: 9억원' 9억원이라니.. 헌금이나 그런거 합한것도아니고 그저 교무금만해서..그것도 한 성당에서만.. 저는 자연히 성당에서 돈을 얼마나 벌까라는 생각을하게?습니다 그리고 대충 생각해보니 한 성당에서 최소 30억원에서 최대 50억원정도까지 벌꺼라는 계산이 나왔습니다. 이것을 약 40억원이라고 친다면..제가 사는 강남구에서만 해도 300억원에서 400억원정도의 돈이 걷친다는 말입니다. 물론 이돈들은 전부 교무청으로 가겠죠 전국적으로 생각해본다면 수천억대가 될것입니다 이돈을 어디에 쓸까 하고 의문이생겨서 저는 부모님께 여쭤봤습니다 '음.. 뭐 신부님 월급드리고 성당 유지비랑.. 새로 성당지으면 돈쓰고.. 불우이웃돕기 조금하고..' 하고 말을 흐리셨습니다. 어머니께서는 뭐 구역 대표에다가 여러 직책을 맡으신 성당 주축이신데.. 주축이신 어머니도 성당 돈이 어디에 쓰이시는지 모르고계신겁니다 솔직히 어머니가 말씀하신 돈을 다 ?더라도 여전히 1년에 수천억원의 이득이 남을것입니다
여기서 제가 궁금한게 나왔습니다 정말.. 이 수천억원의 돈은 어디로 들어가는걸까요 얼마전 티비에서도 성당의 장부는 아무한테도 공개하지 않는다고 들었습니다 한마디로 재정이 , 경영(?)이 투명하지 않다는 말이였습니다 저는 아버지 앞에선 돈없다고 투정하는 어머니가 성당이라면 월급식으로 돈갖다 바치는것이 정말보기싫습니다 이렇게 서민들한테 받은 돈에서 유지비와 이웃돕기성금을 뺀 나머지는 어디에 쓰이는 거죠 정말 알고계신분만 답변해주셨으면 합니다 ................................................................................................................................................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 찬미 예수님.
부활이 가까워지고 있는 요즘, 하느님의 은총이 질문을 하신 분과 함께 하기를 일단 빌겠습니다.
질문자님께서 질문하신 사항, 과연 성당의 헌금은 어디에 쓰여지는 것인가.
이 문제는 사실 많은 이들이 궁금해하고 있는 사항이라고 생각됩니다.
일단 그것에 대한 답변을 드리기 전에 성당에 있어 헌금제도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성당에는 크게 두가지 종류의 헌금이 있답니다.
주일 헌금과 교무금.
가톨릭 신자들에게는 6가지 의무가 있습니다.
그 중 마지막 6가지 의무는 일단 가톨릭의 의무인 성당의 유지비를 함께 부담한다입니다.
그 유지비가 쉽게 말해 교무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주일 헌금은 말 그대로 주일에 내는 보통의 헌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통 개신교에서는 십일조를 받고 있다고 알고 있고, 또한 제 주변의 친구들 역시 교회를 다니며 십일조를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가톨릭의 교무금은 자신 수입의 30 분의 1일을 내는 것으로 되어 있고, 개신교의 가족이 다섯명이라면 그 각자 다섯명 모두의 수입의 십일조가 아닌, 세대별로 구성이 되 있어 가족 수입의 30분의 1인 겁니다. 또한 이것과 주일헌금은 제가 여태 20년 넘게 성당 생활을 하고 있지만 보통 아주 많이 내시는 분이 만원짜리 한장, 또한 보통 2천원에서 1천원을 내고 있지요.
지금 질문을 하신 분의 성당 교무금 책정 액수가 9억이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현재 한국 가톨릭 교회 내에서 교무금이 그 정도로 걷히는 곳이라면 서울 교구밖에 없습니다. 그 밖에 다른 교구에서는 그 정도로 교무금이 걷히지 않습니다. 아니 걷힐 수가 없습니다. 또한 서울 교구 내에서도 강서 쪽의 양천구와 강남 쪽이 보통 그렇게 교무금이 내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질문자님께서 질문하신 수천억대의 헌금은 가능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대전 교구의 보통 1500명에서 2500명 정도의 교우들이 있는 본당에서 한달에 걷히는 교무금의 액수가 800만원 정도이고 이것이 일년이 되어도 겨우 1억을 넘기게 됩니다. 1억도 큰 돈이 아니냐 라고 생각하시겠지만, 지금 이 순간 한번 성당의 크기와 그 안에 있는 식구들 중 경제활동을 활발히 하지 못하는 식구들을 생각해봅시다. 20대 초반의 청년들과 유치부에서 시작되어 중고등부로 끝나는 식구들이 있죠? 이 단체들은 공짜로 굴러가지 않습니다. 그러한 교무금이 걷히지 않는다면 성당의 전기세, 수돗세, 제전비용(꽃꽂이 비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뿐만 아니라 가톨릭의 미래인 청소년들과 어린이들은 쉽게 말해 성당에 발을 붙히기가 힘듭니다.
그리고 그 외의 각 본당들은 대부분 교구청에 빚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각각 그 성당들이 설립될 때 가톨릭 교회의 중심인 교구청에서 돈을 빌려 쓰게 되어 있는데,(사실 그만한 큰 건물들을 싸게 짓기는 힘들죠?) 그것을 성당 명의로 돈이 빌려지게 되어 그것을 매달 일정비용씩 갚아나가게 되어 있는 것입니다. 그 돈들은 결코 작은 돈이 아닙니다.
또한 서울 교구에서는 헌금과 교무금이 어느 정도 걷힌다고 하지만 다른 교구 대전교구, 수원교구, 안동교구 같은 곳은 사정이 그렇지 않습니다. 또한 군종교구라는 곳도 있는데, 이것은 군대 각 부대에 있는 성당들이 군종교구에 속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곳은 거의 헌금이 걷히질 않습니다. 오죽하면 제가 군대에 있을 때, 십원짜리를 내는 병사들이 있는 것도 보았고, 아예 내지 않는 병사들이 그만큼 많았습니다. 하지만 이들이 미사가 끝난 후에 기다리는 쵸코파이는 과연 성당의 헌금으로 충당이 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거의 매 미사와 훈련병들에게 주어지는 쵸코파이는 일반 사단에서는 600개 정도가 소비가 되며, 논산 훈련소 같은 곳에서는 5000개 정도가 소비가 된다고 합니다. 그 쵸코파이과 음료수들 다른 교구들이 서로서로 지원해주지 않으면 절대 불가합니다.
또 마지막으로 사회 단체도 돈이 얼마나 나갈까 하는 생각이라고 하셨지만, 실질적으로 가톨릭에는 꽤 많은 사회복지단체들이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음성가평 꽃동네, 소록도의 성 라자로마을(나병환자들머무르는 곳입니다.) 한국 내에서 가장 큰 고아원인 소년의 집, 그 외의 다운 증후군 환자들이 모여 살고 있는 애덕의 집 등 엄청나게 많은 복지단체들이 있는데, 그곳들 역시 하느님의 은총이 함께 하고 있어 유지되어 나가고 있는 것이지만 분명한건 금전적으로도 어느정도 뒷받침이 되어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위의 말한 복지단체의 규모들이 의심스럽다면,질문자님께서 꽃동네 같은 곳으로 한번쯤은 자원봉사를 나가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산 몇개로 걸쳐 있는 꽃동네의 모습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이 정도로 말을 줄이고 싶습니다. 가톨릭이라는 곳은 쉽게 말해 종교 단체입니다. 만약 그 안에서 걷혀지는 헌금, 세속적인 말로 돈들이 영리적으로 쓰이게 된다면 이 단체 2000년 동안 못 버티었습니다. 그 안에 무수히 많은 사건들이 있었지만 진리(veritas)를 찾아나가고 그 것을 하느님 안에서 찾기에 아직까지 건재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것말고도 다른 궁금증이 생기시면 저에게 쪽지를 보내주시면 기꺼이 답변드리겠습니다. 헌금 말고도 다른 질문도 상관없습니다. 질문자님의 학창시절 마구마구 재미있는 추억들이 많기를 바랍니다. |
'~가톨릭의 이해~ > 신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79위 순교자 시복식 (0) | 2009.09.12 |
---|---|
103위 한국 성인 (0) | 2009.09.12 |
가톨릭 입문교리 문제 풀이(1-16) (0) | 2009.07.12 |
가톨릭 입문교리 문제 풀이(1~41) (0) | 2009.07.11 |
전례력에 대한 주간 계산 알아보기 (0) | 2009.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