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꾸르실료

꾸르실료 운동의 방법 꾸르실료 운동의 방법 꾸르실료 운동의 방법은 물론 꾸르실료 운동의 3단계인 꾸르실료 이전과 꾸르실료 그리고 꾸르 실료 이후 모두에 적용된다. 그러므로 꾸르실료 운동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① 케리그마적임 ② 그리스도 중심적임 ③ 증언적임 ④ 회개를 향하는 길임 ⑤ 공동체적.. 더보기
꾸르실료 운동의 전략 꾸르실료 운동의 전략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꾸르실료 운동의 목적은 환경을 그리스도교 신앙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다. 그러기 위해서는 진지한 회개를 통한 회심과 쇄신이 수반되는 전략, 즉 교회의 사목적 사명 아래 꾸르실료의 독특한 방법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 더보기
꾸르실료 운동의 목적 꾸르실료 운동의 목적 꾸르실료 운동은 교회 운동이기 때문에 교회와 똑같은 사목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 교황 바오 로 6세께서 말씀하신 바와 같이 교회가 세상을 복음화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처럼 꾸르실료 운동 의 목적도 세상의 복음화이다. 또한 복음화의 직접적인 목적은 각 개인과 모든 사람.. 더보기
꾸르실료 운동의 정의와 본질 꾸르실료 운동의 정의와 본질 꾸르실료 운동은 여러 가지로 묘사되어 왔지만 오늘날에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꾸르실 료 운동은 그 자체가 지닌 방법에 의해 사람들이 크리스찬으로서 기본을 살아갈 수 있도록, 그 리고 함께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교회의 운동이다. 그것은 그들 각자의 소명.. 더보기
꾸르실료 운동의 이념적 배경 꾸르실료 운동의 이념적 배경 꾸르실료 운동의 이념적 근원이 되는 기본 사상을 9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것을 이겨낸다는 의미의 크리스찬 신앙의 개념은 모든 인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지전능한 것으로서 진실되고 완벽한 것이다. 이것은 ‘크리스찬’이란 이름만을 도용한 .. 더보기
꾸르실료 운동의 사고 방식 꾸르실료 운동의 사고 방식 첫째, 귀납법적 사고 방식이다. 꾸르실료 운동은 삶이 먼저이고 그리고 그 삶이 이론화된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꾸르실료가 발생될 당시의 창시자들처럼 크리스찬적 삶을 살므로써 세상을 변혁시킬 수 있다는 신념이 내재되어 있다. 꾸르실료의 방법 등 모든 흐름이 이 귀.. 더보기
꾸르실료 운동의 시작과 전개 꾸르실료 운동의 시작과 전개 꾸르실료 운동은 1940년대에 탄생했다. 공식적으로는 1949년 1월 7일에 실시한 꾸르실료를 세계 제1차 꾸르실료라 명명하고 있지만, 이 꾸르실료 운동의 씨앗은 그보다도 훨씬 전부터 싹트기 시작했다. 이것은 스페인 마요르카에서 열렸던 제3차 꾸르실료 세계대회(1972년)와.. 더보기
꾸르실료 운동의 사회적 종교적 배경 꾸르실료 운동이 탄생되었던 1940년대와 그 여명기라고 할 수 있는 1930년대의 스페인은 좌우익 간의 내전(1936∼1939년)과 이어진 제2차 세계 대전(1939∼1945년)으로 매우 혼란스러웠다. 내 전은 끝났지만 그 후 몇 년 간 스페인 교회는 격동기를 겪고 있었다. 스페인은 전통적으로 가톨 릭 국가이며 모든 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