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23 Jan 2012 05:23 PM PST 처음에는 전신 스캐너의 도입을 뉴스로만 지켜보던 저는, 지난 가을에 미국 국내선을 이용하면서 처음으로 전신 스캐너를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이에 그 경험과 문제점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미국 공항보안의 산실, TSA
공항검색대는 미국의 교통 보안국인 TSA(Transportation Security Administration)를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많은 제도가 바뀌어 왔습니다. 이 기관은 2001년의 911테러를 중심으로 창설되었는데, 테러를 유발할 수 있는 모든 행위를 막기 위해 초법적 권리를 행사해 왔고, 이 과정에서 승객들에게 많은 불편이 가중되어 왔습니다. 최근 몇년 전부터, 모든 미주로 가는 여행객들은 신발을 벗고 검색대를 통과해야 했고, 2006년의 런던 공항 테러 미수 사건 이후로는 액체의 반입이 금지되었으며, 최근에는 미국 내 공항들을 중심으로 전신 스캐너까지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바야흐로, 비행기 한 번 타려면 모든 소지품과 몸을 공개해야 하는 지경에 이르렀고, 내가 가지고 가는 물건 또한 TSA에 의해 마음대로 뜯겨지고고 수색당할 수 있습니다. 일례로, 저는 일전에 미국에서 한국으로 입국하면서, 작업용으로 사용하던 컴퓨터가 아무런 동의 없이 TSA에 의해 개봉되어, 포장 박스와 스티로폼이 난도질당한 채로 물건을 받은 경험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전신 스캐너는 어떤 기계일까요? 전신스캐너 검사 방법
전신스캐너는 마치 앞뒤가 개방된 거대한 탈의실처럼 생겼습니다. 우선, 검색대를 통과하기 전에 모든 외투류를 벗어 최대한 옷을 얇게 유지한 뒤, 스캐너에 서서 두 손을 머리 위로 모으고 약 10초간 정지해 있어야 합니다. 마치 경찰에게 체포된 듯한 몸의 자세가 주는 심리적 불쾌함은 물론이거니와, 내 앞에서 직원들이 스캔되는 과정을 지켜보는 것, 그리고 방사능에 노출된다는 점들 또한 좋은 느낌은 아닙니다. TSA는 이러한 검사의 불쾌함을 최대한 없애기 위해 다음과 같은 안내문을 내걸었습니다.
촬영된 이미지는 떨어진 곳에서 검사하며, 이미지는 저장되지 않습니다. 해당 기계의 방사능 노출량은 2분 가량의 비행중에 노출되는 양과 비슷한 수준으로 안전합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안전을 위해 너무 많은 것을 포기해야
자신의 아들이 공항검색대에서 TSA에 의해 억류됨을 알린 아버지 론 폴(정치인).
그는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없는 상황까지도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는 TSA로 인해 승객들은 많은 불편을 입고 있다고 했다. 또한, 액체류 반입 금지 조항이나, 전신스캐너 통과의 경우 몇몇 예외들이 존재하는데, 예를 들면 아기를 위한 분유를 반입한다던가, 전신스캐너를 통과하기 힘든 승객들은 면제되는 등의 조항이 그 예입니다. 모든 승객이 검사를 받을 수 없으면서도 이러한 제도를 유지하는 것 자체가, 일반인들이 액체를 기내에서 합성, 제조해 폭발물을 만들어내고, 엑스레이로 봐야만 보일 작디 작은 물건으로 비행기 내 승객들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는 생각만큼이나 모순이라고 봅니다.
가장 큰 문제는 TSA가 미국이라는 강력한 지원을 등에 업고 미국으로 향하는 타국의 비행편에게도 비슷한 수준의 검색을 요구한다는 점입니다. 미국으로 가는 한국 승객분들은 인천공항에서 비행기에 탑승 직전 추가로 짐 검사를 받아보신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미국에서 요청하면, 이미 엑스레이 촬영까지 마친 짐들을 다시 한번 검사해서 태워 보내야 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위치입니다. 많은 미국인들도 TSA에 반대해 이러한 동영상 중 한 여성은, TSA의 규정을 꼼꼼히 확인 후, 모유는 X-레이 검색을 받지 않아도 된다는 규정을 확인. 이를 일부러 프린트까지 한 뒤에, 젖병에 담은 모유와 함께 준비해 갔지만 TSA에 의해 감금당하고, 두번 이상의 추가 신체 검색을 받고서도 결국은 모유는 엑스레이 검사 없이는 절대 통과할 수 없다는 TSA직원의 으름장에, 결국 아이를 위해 담아 둔 소중한 모유를 버려야만 했던 동영상도 있습니다. 이외에도, 많은 미국 국민들은 TSA의 복잡한 검색 체계를 위해 엄청난 인력을 고용하면서 지출되는 비용에도 큰 불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항에서의 수색 작업 등을 위해 5만 8천명 이상의 직원에, 연간 8조원 이상의 지출(81억 달러, 2012년 추정치)이 TSA를 통해 나가고 있고, 이는 엄청난 예산 낭비라는 지적입니다.
'특수 검색 구역'에 갇힌 한 주부. 그녀는 모유의 X레이 촬영을
거부할 수 있는 권한이 있음에도 결국 거부당하고 모유를 버려야만 했다. 소송을 위해 관련 CCTV를 TSA에 요청하였으나, 중요장면을 가위질한 복사본만 받을 수 있었다. 동영상 보기 |
'~엠마오로 가는길~ > 여행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랑스] 파리 에펠탑 (0) | 2011.06.12 |
---|---|
"로마"( ROMA )-슬라이드 (0) | 2010.11.16 |
전남장흥에서 제주가는 오렌지호 (0) | 2010.08.22 |
[스크랩] 세계의 움직이는 국기 (195개국} (0) | 2008.07.10 |
[스크랩] 세계각국 시차표 (0) | 2008.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