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톨릭의 이해~/가톨릭의성인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Anthony)

축일6월 13일 성 안토니오 (Anthony)

 

신분 신부교회학자설교가

활동 지역 파도바(Padova)

활동 연도 : 1195-1231

같은 이름 안또니오안또니우스안소니안토니우스앤서니앤소니앤터니

 

포르투갈 리스본(Lisbon)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페르난도(Fernandus)라는 세례명으로 세례를 받은 성 안토니우스(Antonius, 또는 안토니오)는 포르투갈 국왕 알폰소 2세의 궁중 기사의 아들이었다성 안토니우스는 신앙심 깊은 부모의 영향을 받으며 자랐고리스본 주교좌성당 부속학교에서 교육을 받다가 15세 되는 해에 집 근처에 있던 아우구스티누스 참사 수도회에 입회하였다. 1212년에는 자신을 찾아오는 친구와 친척들을 피하고자 다시 코임브라(Coimbra)에 있는 성 십자가 참사 수도회로 옮겨 8년 동안 공부와 기도 생활에 전념하였다그 후 1219년에 사제품을 받았다.

 

1220년 1월 16일 모로코에서 순교한 다섯 명의 작은 형제회 순교자들의 유해가 성 십자가 성당으로 옮겨져 왔는데이때 자신도 순교자가 되겠다는 열정에 사로잡힌 그는 그해 코임브라의 작은 형제회로 옮겨 안토니우스라는 수도명을 받고 곧바로 아프리카 선교사를 지원하였다그의 소망대로 무어인들에게 설교하기 위하여 모로코로 파견되었으나도착 직후 병으로 인하여 되돌아와야만 했다.

 

그 후 1221년의 아시시(Assisi)의 포르치운쿨라(Portiuncula)에서 개최된 작은 형제회 총회에 참석했다가 코임브라에서 조용히 은둔하며 고행 생활을 하던 그는 포를리(Forli) 근처의 몬테파올로(Montepaolo) 운둔소로 가게 되었다어느 날 코임브라 관구장인 그란치아노(Granziano) 신부와 함께 사제 서품식에 참석하기 위해 포를리로 갔는데마침 미사에서 강론할 마땅한 사람이 없어 성 안토니우스가 맡게 되었는데 이 자리에서 그는 설교가로서의 큰 능력을 발휘하였다.

 

그래서 그는 카타리파(Cathari)가 성행하던 북부 이탈리아 지방과 알비파(Albigenses)가 성행하던 남부 프랑스에서 설교하라는 명을 받고 활발한 활동을 시작해 놀라운 성공을 거두었다그의 뛰어난 설교와 화술은 불같았고설득력이 있었으며 모여든 군중들을 매료시켰다그가 가는 곳마다 군중들은 구름처럼 운집하였다그는 작은 형제회의 첫 번째 신학 교수로 임명되었으나설교직에 더욱 헌신하기 위하여 공식적인 직책에서 면제해 줄 것을 간절히 바랐다고 한다.

 

사람들을 개종시키고 고해성사를 주는 신부로서의 그의 성공은 가히 놀라울 정도였다프랑스에서 활동하던 중 1226년 10월 3일 아시시의 프란치스코(Franciscus, 10월 4성인이 사망하자 이탈리아로 돌아와 이듬해 에밀리아(Emilia) 관구의 관구장 대리로 선출되었으나설교에 전념하기 위해 1230년에 사임한 뒤 파도바 수도원에 정착하면서 빛나는 업적을 남겼다파도바 전체를 완전히 개종시킨 그의 설교는 영원히 기억될 것이다또한 그는 채무자옥에 갇힌 사람들을 석방하는 일을 비롯하여 가난한 이들을 돕고 이단자를 개종시키는 등 끊임없이 활동하였다.

 

1231년 그는 수종 등을 겸한 열병으로 잠시 요양할 목적으로 캄포 산 피에로(Campo San Piero)로 갔으나병이 심해져 파도바로 되돌아오는 길에 베로나(Verona)의 아르첼라(Arcella)에 있는 클라라 수녀회에서 선종하였다이때 그의 나이는 불과 36세였다그의 유해는 현재 파도바의 성 안토니우스 성당에 모셔져 있다그는 이례적으로 바로 다음 해 교황 그레고리우스 9(Gregorius IX)에 의해 성인품에 올랐고, 1946년에는 비오 12(Pius XII)로부터 교회학자복음적인 박사로 선언되었다.

 

성 안토니우스의 수많은 기적 이야기와 설교 능력은 가톨릭교회의 대표적인 전설 중 하나가 되었고그를 능가할 만한 설교가가 나오기는 힘들 것이라는 평가를 받았다그 당시 사람들은 성 안토니우스를 일컬어 이단자들을 부수는 망치’, ‘살아있는 계약의 궤라고 했으며, ‘기적을 행하는 사람으로 알려져 있었다그리고 17세기부터 잃어버린 물건을 찾을 때 안토니우스 성인에게 기도하면 곧바로 찾는다는 전설이 생겼다이는 어느 수련자가 허락 없이 성인의 시편집을 가져갔다가 성인이 발현하여 돌려달라고 해서 그 시편집을 돌려주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하였다.

 

가난한 이들의 수호성인으로서 일생 그들을 위해 헌신했던 성인의 이름을 따서 19세기에 안토니우스 성인의 빵이라는 구호단체가 설립되어 오늘날까지 개발도상국의 가난한 이들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교회 미술에서 그는 주로 팔에 아기 예수님을 안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는데그 이유는 한 방문자가 안토니우스 성인이 탈혼 중에 일어난 이 일을 기록했다는 이야기 때문이다.

 

오늘 축일을 맞은 안토니오 (Anthony) 형제들에게 주님의 축복이 가득하시길 기도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