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아리랑 언급된글==> 최덕성님의 글 보러가기
<글 중의 일부 옮김>
한민족의 노래 ‘아리랑’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 하동아리랑 등 별조(別調) 아리랑과 이 모든 아리랑들을 아우르는 중심축 본조(本調) 아리랑이 있다.
외국인들은 종종 “당신 나라의 대표적인 노래가 무엇입니까?” 하고 묻는다. 순전한 ‘우리 멜로디’를 듣고 싶어 한다. ‘쾌지나 칭칭 나네,’ ‘날 좀 보소,’ ‘아리랑’ 등이 있다고 하면 “‘아리랑’이 무슨 뜻입니까?” 하고 묻는다. 갑자기 머쓱해진다. 엉거주춤 위기를 잠시 모면하고 싶어진다. “아리랑은 언제, 어디서, 왜 생겼습니까?” 등잔 밑이 어둡다더니, 우리 것에 대한 지식이 넉넉지 않다는 것을 실감한다.
어느 분은 ‘아리랑’이 '사랑하는 님' 이란 말이라고 풀이한다. '아리'는 '좋아하는,' '사랑하는' 이란 뜻의 옛말이며, '랑' 은 '사람' 혹은 '님'이란 뜻이라고 한다. '랑군,’ '랑자' 라는 말의 '랑'과 같은 말이란다. '랑군,' '랑자' 가 두음법칙에 의해 '낭군', '낭자'가 되었다고 한다.
다른 어느 분은 ‘아리랑’의 ‘아리’의 첫째 뜻은 ‘고운’의 뜻이고, ‘랑’의 뜻은 ‘님’이라고 풀이한다. ‘아리’가 고대 한국에서 ‘고운’ ‘곱다’ ‘아름다운’ ‘아름답다’의 뜻으로 쓰인 흔적은 현대 한국어에서 ‘아리따운’(아리+다운)에서 찾아볼 수 있다. 몽골어에서 ‘아리’는 아직도 ‘고운’ ‘곱다’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아리랑’의 뜻은 ‘고운님’이라고 한다.
그리고 ‘아리’의 둘째 뜻은 ‘(사무치게) 그리운’의 뜻을 담고 있다고 한다. 현대 한국어에서 (마음이) ‘아리다’의 동사는 사랑에 빠져 상사병에 걸렸을 때나 마음의 상처를 받았을 때의 표현이다. 이것이 형용사가 되면 ‘아리’는 상사병이 나도록 ‘사무치게 그리운’의 뜻이 된다. 이 때의 ‘아리랑’은 ‘(사무치게) 그리운 님’의 뜻이라고 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아리랑’의 본향은 강원도 정선이란다. 그곳 아리랑이 조선조 말 경복궁 중수를 계기로 전국에 퍼져 밀양아리랑, 진도아리랑 등이 됐다고 한다. 경복궁 중수를 위해 문경의 박달나무가 베어져 사용됐고, 당시 공사를 위해 전국에서 인부가 동원됐다. 귀향한 인부들은 각지에서 본조 아리랑을 닮은 여러 형태의 아리랑을 낳았다고 한다.
‘아리랑’은 망국의 시대에 나라를 떠난 외국 동포들이 나라 잃은 한을 달래고 민족공동체 회복을 꿈꾸며 눈물로 부른 노래이기도 하다. 광복 후에는 이런 저런 단체 행사가 이 노래를 즐겨 불러 우리 민족의 노래가 되었다. 민족혼과 얼이 구구절절 녹아들어 있는 ‘아리랑’은 일제강점기와 동족상잔의 전란을 거치면서 이 겨레의 슬픔과 비분을 담아냈다.
‘아리랑’은 러시아의 ‘까레이스키’동포, 재중동포, 재미동포, 재일동포 그리고 북한인과 남한인을 선율 하나로 묶어주고, 한 핏줄임을 확인시켜준다. 뉴욕필 부악장이며 차석 바이올리니스트 김미경 씨(36)는 “아리랑을 연주할 때에 눈물이 났다”고 말했다. “한국계 단원 8명을 포함해 모두가 울었다”고 했다.
‘아리랑’은 단순한 노래가 아니다. 우리 민족의 얼을 담은 ‘어머니’이다. 우리는 그 품에서 아픔을 덜고, 상처를 치유하고, 위안을 얻고, 희망을 찾아 오늘에 이르렀다. 그것을 연주하는 선율에는 어느 곳에나 한국인 음조의 원형이 살아 숨 쉬고 있다.
‘아리랑’이 2002년 독일에서 열린 한 음악인대회에서 ‘세계 100대 노래’ 중 으뜸을 차지했다고 하는 기쁜 소식도 들린다. 한국인 심사위원이 한 사람도 없는 가운데서도 지지율 82%라는 엄청난 성원을 받아 선정됐단다.
'~이웃사랑방~ > 하동사랑 코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민족아리랑연합회 김갑연이사 (0) | 2011.12.12 |
---|---|
하동 사리랑타령 (0) | 2011.12.12 |
[스크랩] 아리랑의 원조인 정선아라리의 유적지 (0) | 2011.12.12 |
[스크랩] 한국현대화에도 다시 살아나는 아리랑 (0) | 2011.12.12 |
하동 횡천강변 물들인 백만 송이 국화 "장관" (0) | 2011.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