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과 함께~/국악사랑

[스크랩] 가야금연주 - Let it be(합죽선(合竹扇)과 태극선(太極扇) )

가야금연주 - Let it be |

합죽선(合竹扇)과 태극선(太極扇)  

 

 

우리 조상들은 계절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여러가지 생활도구를 사용하였다.
그 가운데 한여름의 무더위를 식히기 위해 사용한 부채를 들 수 있다.

손으로 직접 흔들어서 바람을 구하는 부채는 순수한 우리말로서 그 시원을 고려시대로 보고 있다.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부채로 합죽선과 태극선이 있다. 

 


합죽선은 주로 양반들이 사용하던 장신구로서 매우

까다로운 작업과 공정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며 완성된

합죽선 위에 시와 수묵화를 그려 넣어 명품으로서

운치를 더해주고 있다.

 

 

 

합죽선과 더불어 태극선은 대나무로 부채살을 만들고

태극무늬의 비단과 장식등 일곱가지의 공정을 거쳐

완성되는 우리의 전통미가 잘 배어있는 수공예품이다.
조선시대에는 전주감영에 부채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관청이 있었으며, 지금도 전주의 상징적인 공예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태극선 [太極扇]    
태극무늬를 그린 둥근 부채. 재료로는 살을 만드는 대나무, 손잡이를 만드는 나무,
태극무늬 비단헝겊, 손잡이를 고정시키는 사북장식 및 종이가 필요하다.
만드는 방법은 먼저 대나무를 쪼개어 살을 만들고, 종이에 풀칠한 뒤 80여 개 정도의
살을 배열한다.

 

 

 

 

다시 풀칠하고 선지를 덮어 압축한 뒤 그 위에 태극무늬 비단헝겊을 붙인다.
틀어지지 않도록 부채면을 고정시켜 말린다. 부채모양대로 가장자리를 잘라 갓 테두리에
검은색 한지로 테를 두르고 자루를 끼운 뒤 못을 박아 고정시킨다.
오늘날에도 널리 이용되는 부채이다.

 

 

 

 

합죽선 [合竹扇]    
겉대를 얇게 깎아 맞붙여 살을 만들고 종이나 헝겊을 발라서 만든 부채다.
대를 맞붙여 만들었다 하여 합죽선이라 하며,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다.
등가장자리 깃대는 마디가 짧은 것으로 택하며 7쪽을 붙이는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사북은 은·백통·놋쇠로 하고, 고리가 달리는 부분에는 뼈나 뿔을 붙여 견고하게 한다.
고급재료를 사용하여 약 100일 동안 정교한 공정을 거친 고급부채로 부채 본연의 기능 외에
산수화나 사군자를 그려 넣어 미술적 가치도 지닌다. 특산지는 전라북도 전주(全州)이다.

 

 

Let it be - Kayagum


 
   

출처 : 이원태 국악초대석
글쓴이 : 푸른하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