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과 함께~ 썸네일형 리스트형 이광수와 김용배 이야기 - 옮긴 글 *****이광수/ 비나리, 상쇠 ***** 민족음악원 원장, 국악협회 이사, 중앙대·한서대 출강 1952년 충남의 예산에서 태어난 이광수는 전문연희패(남사당패)를 이끌던 그의 부친 이점식의 영향으로 어린시절부터 풍물과 함께 생활하며 남사당패 행중으로 활동하며 타고난 예술적 천재성을 발휘하게 된다. 남운용(남사당 꼭두쇠), 최성구(남사당 상쇠) 등의 대가들로부터 꽹과리,장구를 사사받았고, 차기준, 황금만(남사당 비나리)선생께 비나리를 사사 받았으며, 전통예술의 공연을 통한 실제적 체험 속에서 성장한 그는 1962년 전국 농악 경연대회에서 개인상을 수상하는 등 일찍이 그 부문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그가 전국의 곳곳에서 공연 활동을 계속하던시절 그는 깊고 무한한 우리 전통예술의 각 부문에 심취할 수 있었고, .. 더보기 고법 보유자 박시양 ‘무형문화재’ 인정 예고 기사 보러가기----->클릭 더보기 '완주 한 차례'가 무형문화재?..국악단체 사람들 반발 기사 보러가기===>클릭 '완주 한 차례'가 무형문화재?..국악단체 사람들 반발 이달 초, 문화재청에 삼백 개가 넘는 청원서가 접수됐습니다. 여러 국악 단체 구성원이 쓴 청원서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고법(鼓法) 보유자로 지난 6월 ‘인정 예고’된 보유자 A 씨에 대 news.v.daum.net 관련영상 https://tv.kakao.com/v/421233128 관련영상 https://tv.kakao.com/v/421246481 더보기 [스크랩] 2017 윤용준 꽹과리프로젝트 <金의 舞> 1. 꽹과리 독주 출처 : 구구덩글쓴이 : 토끼님이야 원글보기메모 : 더보기 [스크랩] 고 최종민 교수님, 전에 올립니다. 사람에게는 자기 땅, 자기 말, 모국어가 있듯이, 늘 < 우리 음악의 모국어 ‘국악’을 잊지 말자 >를 전해 주시던, 국악계의 큰 별 < 최종민 교수님 >이 2015년 5월 14일 오늘 새벽 별세 하셨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이제는 임의 정감 넘치며 포근한 목소리로 ‘국악방송’.. 더보기 김용배의 음악 - 국악방송 국악방송 보러가기 : 1편 클릭 ----김헌선 교수의 이야기 <원일의 여시아문 - 이도공간> 김용배 특집 1 김헌선(민속학자/경기대학교 국문학과 교수) 현재 경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전통음악과 문화, 특히 삶에 녹아있는 민속문화의 현장을 연구하고 있다. 이번 방송.. 더보기 [스크랩] 판소리, 세계무형문화유산 걸작 선정 판소리, 세계무형문화유산 걸작 선정 전북 등 한국의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가 유네스코 인류구전과 무형유산걸작선(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으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전북은 지난 2000년 11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 총회에서 고창의 고인돌유적이 세계.. 더보기 [스크랩] 판소리, 세계무형문화유산 걸작 선정 판소리, 세계무형문화유산 걸작 선정 전북 등 한국의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가 유네스코 인류구전과 무형유산걸작선(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으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전북은 지난 2000년 11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 총회에서 고창의 고인돌유적이 세계.. 더보기 이전 1 2 3 4 ··· 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