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마사 참례 의무에 대한 주호식 신부님의 답변글입니다.
굿뉴스 검색으로 찾은 내용을 그대로 가져옵니다.
이 글은 천주교 묻고 답하기 게시판에 썼던 글을 조금 수정한 것입니다.
먼저 일반적인 설명은 아래를 참조하십시오.
한국 천주교 사목지침서(한국교회법) 제 74조에 보면 다음과 같은 항목이 있습니다.
3항 - 주일이나 의무 축일에 미사참례의 의무를 이행할 수 없는 신자는
공소예절로 그 의무를 대신할 수 있다.
4항 - 미사나 공소예절에도 참례할 수 없는 부득이한 경우에는 그 대신에
묵주기도, 성서봉독, 선행 등으로 그 의무를 대신할 수 있다.
이 조항을 보면 모두 맞는 얘기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제가 배운 바로는 법의 근본 정신은 사랑에 있습니다. 법은 불가능한 것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본인의 탓이 없이 물리적으로 주일미사 참례가 불가능한 경우
교회법은 신자에게 불가능한 요구를 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구체적으로 군인, 경찰, 소방관, 환자(노약자), 의사, 간호사, 생계를 위해 주일에도
일을 해야 하는 경우 등등 많은 분들이 주일미사 참례를 지킬 수 없는 실제적인 상황이 있습니다.
이 때 교회법은 자동적으로 주일미사 참례의 의무를 관면해 줍니다.
즉 주일미사 참례를 하지 못하더라도 다음번 미사 때 고해성사를 보지 않고도
성체를 영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위의 항목들을 자세히 보면 주일미사 참례의 의무를 대신하는 것이지,
주일미사를 대신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주일미사를 대신할 수 있는 다른 어떤 기도나 선행이 있을 수는 없습니다.
미사는 바로 성체성사의 신비가 오늘 이 자리에서 이루어지는
유일무이한 시간이요 공간이기 때문입니다.
이 점을 구분하셨으면 합니다.
주일미사 참례의 의무는 위에 언급된 다양한 방법으로 대신할 수 있지만
그것 자체가 주일미사를 대신한 것이라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부득이한 경우", 정말로 부득이한 경우라면
(이것은 구체적으로 조목조목 구분지어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또 지나친 자기위주의 해석 역시 피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더 중요한 것은 구원, 바로 하느님과의 일치의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주일미사 참례의 의무를 대신하는 기도나 선행을 통해 주일을 거룩하게 보내야 하는
신자의 기본적인 본분을 다하는 것이지 그것이 주일미사를 대신한 것은 아닙니다.
쉽게 말씀드려서 보통 나이드신 신자분들 중에
"오늘 주일미사 못가니까 주님의 기도 33번으로 대신했다"는 표현은 잘못된 것입니다.
그리고 정말 중요한 것은 우리가 주일미사 참례를 통해 그리스도의 성찬에 참여하고
그분께 합당한 찬미와 영광을 드리며 한 주간을 살아갈 영성적인 힘을 얻는 데에 있기 때문에,
지나친 법적인 해석에 치우치기보다는 신앙적인 관점에서 자신의 신앙과 구원을 위해
미사에 참례하는 것이 얼마나 소중하고 중요한 일인가를 먼저 깨닫는 것일 겁니다.
여기가지가 먼저 썼던 내용이고, 이어서 몇 자 더 적습니다.
자매님 가족의 경우 물리적으로 성당에 가서 주일미사를 참례한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겠지요?
환자의 상태나 장애의 정도에 따라 다른 분들의 수고로 참례할 수도 있겠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예외적인 상황이고 현재의 상황은 사실상의 불가항력적인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가 교회법 학자는 아니지만,
신자분들이 법적인 사고에 익숙해서 죄가 된다 안된다로 많이 고민하시기 때문에
위에 법적인 설명을 드린 것입니다.
그에 따라서 자매님 가족의 경우를 보면 주일미사 참례의 의무는 자동적으로 관면되는 것이기 때문에,
특별한 날 특별한 도움으로 미사 참례를 했을 때
주일미사 참례하지 않은 것 외의 다른 특별한 대죄가 없다면
고해성사 없이 미사 시작 때 참회예절 중에 그간의 잘못에 대해 참회하고
기쁜 마음으로 성체를 영하실 수 있습니다.
물론 본인이 원하시고 또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어서 성사를 보셨다면
그것은 온전히 본인의 영혼에 도움이 되는 일이지 손해될 일은 아닐 것입니다.
그래서 장애나 병으로 인해 공동체가 함께 드리는 주일미사에 참례 못했다고 해서
죄책감을 가지실 이유는 전혀 없습니다.
그러나 위에 설명드린 것처럼 주일을 거룩하게 지내야 하는 신자로서의 본분은 지키셔야 하고
또 현재 그 누구보다 더 열심히 기도하며 주일을 거룩히 보내시고 계실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그런데 이것 역시 장애의 유형이 정상적인 의지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라면
마찬가지로 불가항력적인 경우가 되겠지요?
좀 딱딱하게 설명드렸는데,
결론적으로 하느님을 너무 법적이고 벌을 주시는 무서운 분으로 보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하느님께서는 무엇보다 우리의 구원을 바라시는 사랑 지극하신 분입니다.
그분의 사랑에 우리가 어떻게 응답하는가가 더 중요한 문제일 것입니다.
자매님 가족의 경우, 처한 환경에서 정말 기쁜 마음으로 하느님을 찬미하고 기도하며
주일을 거룩하게 보내신다면 하느님께서는 그 어떤 기도보다도 기쁘게 받아주실 것입니다.
'~가톨릭의 이해~ > 신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판공성사를 위한 준비 - 양심성찰 (0) | 2007.11.10 |
---|---|
[스크랩] 성경(새번역)과 성서(공동번역)의 목차 비교 (0) | 2007.11.10 |
시간적 여유가 있는 경우의 임종대세 (0) | 2007.11.10 |
구약성경에 나오는 성막에 관한 자료 (0) | 2007.10.28 |
구약성경에 나오는 성막에 관한 자료 (0) | 2007.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