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게네스 사제의 「요한 복음 주해」에서 『』
(Tomus 10,20: PG 14,370-371)
그리스도께서는 당신 몸의 성전에 대해 말씀하셨다
"이 성전을 허물어라. 그러면 내가 사흘 안에 다시 세우겠다." 자기 육신이나 물질적인 것만을 생각하는 사람
들 (여기서는 유다인들을 뜻합니다.) 즉 아버지의 집을 자신들의 행위로 말미암아 장사하는 집으로 만든 그
사람들은 그리스도께서 자기네들을 성전에서 쫓아낸 데 대해 화가 치밀어 하나의 표적을 청합니다.
그 표적을 통해서, 자기네들이 받아들이지 않은 하느님의 아드님께서 하시는 일이 옳은 일인지 아닌지를 알아
보기 위해서입니다.
그러나 구세주께서는 성전에 대해 말씀하시는 듯하지만 실은 당신 몸에 대해 말씀하시면서,
"당신이 이런 일을 하는데, 당신에게 이럴 권한이 있음을 증명해 보시오." 하는 그들의 질문에 대해,
"이 성전을 허물어라. 그러면 내가 사흘 안에 다시 세우겠다." 고 대답하십니다.
그런데 성전과 예수님의 몸 두 가지 다 교회의 상징이라고 나는 해석하고 싶습니다.
교회는 "산돌로 세워져 거룩한 사제로서 신령한 집이 되고" "그리스도 예수를 건물의 가장 요긴한 모퉁잇돌로
모시는 사도들과 예언자들의 기초 위에 세워진" 참된 성전입니다. 이 때문에
"우리는 다 함께 그리스도의 몸을 이루고 있으며 한 사람 한 사람은 그 지체가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성전의 돌들의 일치와 조화는 "내려가 다 흩어졌나이다." 라는 시편 21편의 말씀에 따라 끊겨 나가
파괴될 수 있습니다. 박해와 혼란을 끊임없이 충동질하고 성전의 일치를 깨뜨리는 자들이 일으키는 전쟁으로
인해 이 일치는 끊기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성전은 복구되고 몸은 사흘째 되는 날, 즉 환난의 날이 지나고 그
다음날인 완성의 날 후에 일어날 것입니다. 이스라엘의 집을 세우는 이 뼈들이 주님의 위대한 날에 그분의 죽
음으로부터의 승리로 인해 다시 살아날 때, 새 하늘과 새 땅의 셋째 날이 참으로 동틀 것입니다.
그래서 십자가의 수난을 뒤쫓는 그리스도의 부활은 그리스도의 온 몸의 부활 신비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예수님의 몸이 십자가에 못박히고 묻힌 다음 다시 일어나신 것처럼, 그리스도의 성도들의 온 몸들도 그리스도
와 함께 먼저 십자가에 못박혀 이제 생명이 끊긴 것입니다.
따라서 바울로처럼 우리 각 사람도 그로 인해 우리가 세상에 대해 죽고 세상은 우리에 대해 죽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그 십자가밖에는 자랑할것이 없어야 합니다.
우리 각 사람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혀 세상에 대해 죽었을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와 함께 또한 묻혔
습니다. "실상 우리는 죽어서 그리스도와 함께 묻혔다." 고 바울로는 말합니다. 그리고 덧붙여서 그리스도의 부
활로써 우리도 하나의 보증을 얻었다는 뜻으로 "우리도 그리스도와 함께 부활하였다." 고 말합니다.
(성베네딕도회 왜관수도회홈에서)
![](https://t1.daumcdn.net/cafefile/pds82/2_cafe_2008_07_27_10_39_488bd1a340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