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방송 보러가기 : 1편 클릭 ----김헌선 교수의 이야기
<원일의 여시아문 - 이도공간> 김용배 특집 1
김헌선(민속학자/경기대학교 국문학과 교수)
현재 경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전통음악과 문화, 특히 삶에 녹아있는 민속문화의 현장을 연구하고 있다. 이번 방송에서는 꽹과리 명인 김용배의 예술과 삶을 논한다.
*감상
음악1 웃다리 풍물 (꽹과리:김용배 / 장구:김덕수 / 북:이광수 / 징:최종실)
음악2 설장구 가락 (장구:김용배)
2편 클릭 ----강은일, 김복만, 허윤정 이야기
<원일의 여시아문 - 이도공간> 김용배 특집 1
강은일(해금 연주자/ 단국대학교 교수)
개성있는 크로스오버 해금연주가로 평가받는 강은일은 단국대학교 교수로 재직중이다. 전통과 현대적 음악어법을 조화시켜 동시대와 함께 호흡할 수 있는 새로운 음악을 선보이고자 2002년 결성한 '강은일의 해금플러스'활동을 통해 해금의 대중화를 선도하고 있다.
김복만(타악 연주자/ 사물놀이 진쇠예술단 대표)
국가무형문화재 제3호 남사당놀이 이수자로 한국전통연희단체총연합회 풍물분과 위원장을 역임했다.
전주대사습놀이 농악부문 장원을 수상한 바 있으며 '진짜 뜬쇠'라는 뜻의 '사물놀이 진쇠예술단'을 이끌고 있다.
본 방송에서는 꽹과리 명인 김용배 선생의 제자로서 그를 추모하여 회상한다.
허윤정(거문고 연주자/ 서울대학교 교수)
전통을 기반으로 한 거문고의 세계화에 앞장서고 있는 허윤정은 서울대학교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Black String'리더로 활동 중이며 지난해 국립극장 여우락 페스티벌 '올해의 아티스트'로 선정되었고
2007년과 2008년, 미국 록펠러재단의 레지던스 아티스트로 선정돼 뉴욕에서 6개월간 활동한 바 있다.
*감상
음악1 설장구 (음성, 장구:김용배) *1990년 일본 YMCA 워크숍 中
음악2 칠채 (연주:블랙스트링)
3편 클릭 강은일, 김복만, 허윤정 이야기
<원일의 여시아문 - 이도공간> 김용배 특집 3
강은일(해금 연주자/ 단국대학교 교수)
개성있는 크로스오버 해금연주가로 평가받는 강은일은 단국대학교 교수로 재직중이다. 전통과 현대적 음악어법을 조화시켜 동시대와 함께 호흡할 수 있는 새로운 음악을 선보이고자 2002년 결성한 '강은일의 해금플러스'활동을 통해 해금의 대중화를 선도하고 있다.
김복만(타악 연주자/ 사물놀이 진쇠예술단 대표)
국가무형문화재 제3호 남사당놀이 이수자로 한국전통연희단체총연합회 풍물분과 위원장을 역임했다.
전주대사습놀이 농악부문 장원을 수상한 바 있으며 '진짜 뜬쇠'라는 뜻의 '사물놀이 진쇠예술단'을 이끌고 있다.
본 방송에서는 꽹과리 명인 김용배 선생의 제자로서 그를 추모하여 회상한다.
허윤정(거문고 연주자/ 서울대학교 교수)
전통을 기반으로 한 거문고의 세계화에 앞장서고 있는 허윤정은 서울대학교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Black String'리더로 활동 중이며 지난해 국립극장 여우락 페스티벌 '올해의 아티스트'로 선정되었고 2007년과 2008년, 미국 록펠러재단의 레지던스 아티스트로 선정돼 뉴욕에서 6개월간 활동한 바 있다.
*감상
음악1 설장구 (장구: 김용배)
음악2 김영재류 해금산조 중 엇모리-단모리 (해금: 강은일, 장구: 박환영
'~음악과 함께~ > 사물놀이 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광수와 김용배 이야기 - 옮긴 글 (0) | 2022.08.10 |
---|---|
[스크랩] 2017 윤용준 꽹과리프로젝트 <金의 舞> 1. 꽹과리 독주 (0) | 2018.01.30 |
부산농악 :굿거리-덧배기 (0) | 2014.09.02 |
광대의 길 50년, 김덕수 (0) | 2014.09.02 |
왕인예술단의 삼도사물 (0) | 2014.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