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톨릭의 이해~/신앙상식

죽은 이들을 위한 기도와 선행의 의미 11월, 위령성월 교회는 오곡백과를 추수하는 11월에 하느님께서 연옥의 고통 중에 있는 영혼들을 빨리 당신 나라에 데려가 주시기를 간구한다. “오늘은 나의 것, 내일은 너의 것(Hodie mihi, Cras tibi)”. 이 말은 무덤들이 살아 있는 우리에게 외치는 소리이다. “너도 우리와 같은 처지가 될 터이니 너무 .. 더보기
묵주기도 성모 신심 성모 신심(信心) 은 예수님의 어머니인 성모 마리아에 대한 교회의 공경과 그 표현입니다. 성모님에 대한 합당하고 올바른 신심은 그리스도인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신앙 생활을 더욱 알차게 함으로써 하느님께 더 큰 영광을 바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성모 공경은 근본적으로 신(神)인 그리.. 더보기
[스크랩] 열두사도 문장 사도 베드로 갈리래아 출신의 어부였던 사도 베드로는 예수의 부르심을 받아 사도가 됐다. 원래 이름은 시몬이었으나 예수그리스도로 부터"베드로"라는 이름을 받고 사도단의 으뜸으로 전체교회를 돌볼 책임을 받았다. 베드로는 "반석"이라는 듯이다. 베드로는 수난짖전 세 차례나 예수를 부인 했으.. 더보기
[스크랩] 12 사도 ◎ 차 야고보와 유다는 예수님의 이종 사촌 열두 사도는 베드로, 안드레아, 제베대오의 아들 야고보(장 야고보), 요한, 필립보, 바르톨로메오, 토마스, 마태오,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차 야고보), 유다, 시몬, 마티아다. 신약성서에는 12사도의 명단이 모두 네곳(마태 10, 2-4 ; 마르 3, 16-19 ; 루가 6, 14-16 ; 사.. 더보기
[스크랩] 가, 나, 다 해 주요 성서 대부분 봉독위해 우리는 전례력으로 2001년 다해를 맞아 루가 복음서를 주로 봉독 하고 있다. 이렇게 가해, 나해, 다해 3년을 구분해 독서를 봉독하는 가장 큰 이유는 성서의 주요부분을 대부분 봉독할 수 있기 때문. 교회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말씀의 전례를 강조, 전례시기와 축일, 해.. 더보기
[스크랩] 고백하기 어려운 죄로 인해 고해성사 제대로 못 합니다 고백하기 어려운 죄로 인해 고해성사 제대로 못 합니다 [Q] 고백하기 어려운 죄로 인해 고해성사 제대로 못 합니다 저는 고해성사를 할 때마다 힘이 듭니다. 창피한 마음에 오랫동안 감춰오는 죄가 있습니다. 늘 ‘이밖에 알아내지 못한 죄에 대해서도…’라고 할때 그 죄를 같이 포함했다고 생각하지.. 더보기
고해성사는 커다란 사랑의 행동 고해성사는 커다란 사랑의 행동 우리에게 필요한 것 한 가지 그것은 고해성사입니다. 고해 성사는 활동 안에서의 겸손일 따름입니다. 우리는 그것을 참회라고 부르지만 실제로 그것은 사랑의 성사요, 용서의 성사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고해소는 우리의 어려움들에 대해서 여러 시간 동안 이야기를 .. 더보기
[수도회관련글]4월26일 성녀 프란카 비살타 -- 축일:4월26일 성녀 프란카 비살타 / 복녀 알다(알도브란데스까) // [이콘]주무시지 않는 눈. 팔레히(Palech)화파. 제작년도 1797. 32x27.5cm 이 성화(Icon)의 주제 (主題)를 금색의 글씨로 그림의 윗 가장자리에 다음과 같이 써넣었다. "이스라엘을 지키시는 자는 졸지도 아니하고 주무시지도 아니하시리이다." 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