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소설.....(하루 지났군요.)
양력 11월 22일경. 이 무렵인 음력 10월 20일에는 바람이 심하게 불고 날씨가 추워서 외출을 삼가고 특히 뱃길을 조심해야 합니다.
태양의 황경이 240°에 오는 때이며 이때부터 살얼음이 잡히고 땅이 얼기 시작하여 점차 겨울 기분이 든다고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아직 따뜻한 햇볕이 간간이 내리쬐어 소춘(小春:작은 봄)이라고도 불립니다.
옛날 사람들은 소설기간을 5일씩 삼후(三候)로 구분하여, 초후(初候)에는 무지개가 걷혀서 나타나지 않고, 중후(中候)에는 천기(天氣)가 올라가고 지기(地氣)가 내리며, 말후(末候)에는 천지가 얼어붙어 겨울이 된다고 하였습다.
소설 무렵, 대개 음력 10월 20일께는 손돌이 죽은 날이라는 전설이 있습니다. 고려시대에 임금이 배를 타고 통진과 강화 사이를 지나는데 갑자기 풍랑이 일어 배가 심하게 흔들렸답니다. 왕은 사공이 고의로 배를 흔들어 그런 것이라고 사공의 목을 베었고 사공은 아무 죄도 없이 억울하게 죽었는데 그 사공의 이름이 손돌이었답니다.
그래서 그 손돌이 죽은 곳을 손돌목이라 하고 지나갈 때 조심한답니다. 해마다 그날이면 강풍이 불고 날씨가 찬데, 이는 손돌의 억울하게 죽은 원혼 때문이라고 합니다. 특히, 강화에서는 이날 뱃길을 금한답니다. 이 때의 추위를 손돌추위, 그 바람을 손돌이바람(손돌풍, 손석풍(孫石風))이라고 합니다.
소설에는 눈이 적게, 대설에는 많이 온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소설 추위는 빚내서라도 한다"라는 말이 있듯이 첫얼음이 얼며, 첫눈이 오기 때문에 시래기를 엮어 달고, 무말랭이, 호박 오가리, 곶감 말리기 등 대대적인 월동 준비에 들어갑니다.
음력 시월은 농사일이 끝나는 달입니다. 추수를 끝내고 아무 걱정이 없이 놀 수 있는 달이라 하여 '상달'이라 했고, 일하지 않고 놀고 먹을 수 있어 '공달'이라고도 했습니다.
무 배추 캐어 들여 김장을 하오리라
방고래 구들질과 바람벽 맥질하기
창호도 발라놓고 쥐구멍도 막으리라
수숫대로 터울하고 외양간에 떼적 치고
우리 집 부녀들아 겨울 옷 지었느냐
(농가월령가의 대목입니다. )
게으름 피우다가 소설 안부가 늦엇습니다.
음력 시월 들어 상달인지라 먹고 놀고 .....
술청에 막걸리 뛰우고 도토리 ,메밀묵 쑤어
꼬막 삶아서 뒹굴며 풍물굿 치며 놀 날이 제게도 곧 오겟죠....
2006.11.23
수인
소설.....(하루 지났군요.)
양력 11월 22일경. 이 무렵인 음력 10월 20일에는 바람이 심하게 불고 날씨가 추워서 외출을 삼가고 특히 뱃길을 조심해야 합니다.
태양의 황경이 240°에 오는 때이며 이때부터 살얼음이 잡히고 땅이 얼기 시작하여 점차 겨울 기분이 든다고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아직 따뜻한 햇볕이 간간이 내리쬐어 소춘(小春:작은 봄)이라고도 불립니다.
옛날 사람들은 소설기간을 5일씩 삼후(三候)로 구분하여, 초후(初候)에는 무지개가 걷혀서 나타나지 않고, 중후(中候)에는 천기(天氣)가 올라가고 지기(地氣)가 내리며, 말후(末候)에는 천지가 얼어붙어 겨울이 된다고 하였습다.
소설 무렵, 대개 음력 10월 20일께는 손돌이 죽은 날이라는 전설이 있습니다. 고려시대에 임금이 배를 타고 통진과 강화 사이를 지나는데 갑자기 풍랑이 일어 배가 심하게 흔들렸답니다. 왕은 사공이 고의로 배를 흔들어 그런 것이라고 사공의 목을 베었고 사공은 아무 죄도 없이 억울하게 죽었는데 그 사공의 이름이 손돌이었답니다.
그래서 그 손돌이 죽은 곳을 손돌목이라 하고 지나갈 때 조심한답니다. 해마다 그날이면 강풍이 불고 날씨가 찬데, 이는 손돌의 억울하게 죽은 원혼 때문이라고 합니다. 특히, 강화에서는 이날 뱃길을 금한답니다. 이 때의 추위를 손돌추위, 그 바람을 손돌이바람(손돌풍, 손석풍(孫石風))이라고 합니다.
소설에는 눈이 적게, 대설에는 많이 온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소설 추위는 빚내서라도 한다"라는 말이 있듯이 첫얼음이 얼며, 첫눈이 오기 때문에 시래기를 엮어 달고, 무말랭이, 호박 오가리, 곶감 말리기 등 대대적인 월동 준비에 들어갑니다.
음력 시월은 농사일이 끝나는 달입니다. 추수를 끝내고 아무 걱정이 없이 놀 수 있는 달이라 하여 '상달'이라 했고, 일하지 않고 놀고 먹을 수 있어 '공달'이라고도 했습니다.
무 배추 캐어 들여 김장을 하오리라
방고래 구들질과 바람벽 맥질하기
창호도 발라놓고 쥐구멍도 막으리라
수숫대로 터울하고 외양간에 떼적 치고
우리 집 부녀들아 겨울 옷 지었느냐
(농가월령가의 대목입니다. )
게으름 피우다가 소설 안부가 늦엇습니다.
음력 시월 들어 상달인지라 먹고 놀고 .....
술청에 막걸리 뛰우고 도토리 ,메밀묵 쑤어
꼬막 삶아서 뒹굴며 풍물굿 치며 놀 날이 제게도 곧 오겟죠....
2006.11.23
수인
'~음악과 함께~ > 사물놀이 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택 농악의 판굿 형태 (0) | 2006.12.03 |
---|---|
판2006 노름마치 정기공연 안내 (0) | 2006.11.27 |
우리 까페가 랭킹이 한 단계 상승하였답니다. (0) | 2006.11.24 |
솟대에 관하여.. (0) | 2006.11.17 |
놀이판 들뫼의 연습공간 마련에 관한 군수님의 답변입니다. (0) | 2006.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