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과 함께~/사물놀이 방

솟대에 관하여..

솟대에 관한 자료


국사책에 보면 삼한시대에 신을 모시는 장소인 소도(蘇塗)라는 것이 있어서,
죄인이 이리로 도망가도 잡으러 들어갈 수가 없고, 정경분리의 예라고 나옵니다.

소도'에 표지로서 세우는 것이 솟대(立木)라고 하며, 그 명칭인 '소도'와
'솟대'가 깊이 관련된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솟대 위의 새는 대개 오리라고 불리우며 일부 지방에서는 까마귀라고도 합니다.
그 밖에 기러기, 갈매기, 따오기, 까치 등을 나타낸다고 생각되기도 합니다.

솟대에 오리가 올라간 이유는 다음과 같이 생각되고 있습니다.

1. 오리는 하늘, 땅, 물의 3계를 넘나드는 동물로서, 종교적/우주적 존재로 인식
2. 오리는 물과 깊이 관련되어 농경사회에서 비와 천둥을 지배하는 존재로 인식
3. 오리는 홍수가 나도 살아남을 수 있는 존재로서 인식
4. 불을 극복하여 화재를 방지하는 존재로 인식
5. 철새로서 계절의 변화, 저승과 이승을 연결시켜 주는 존재로 인식.


솟대란 나무나 돌로 만든 새를 장대나 돌기둥 위에 앉힌 마을의 신앙 대상물을 일컫는다.

솟대는 마을 사람들이 음력 정월 대보름에 동제(洞祭) 모실 때에, 마을의
안녕과 수호 그리고 풍농을 위하여 마을 입구에 세운다.
솟대는 마을 입구에 홀로 세워지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장승, 선돌, 탑(돌무더기), 신목(神木)등과
함께 세워져 마을의 하당신(下堂神) 또는 상당신(上堂神)이나 주신(主神)으로 모셔진다.


솟대 위의 새는 대개 오리라고 불리우며 일부 지방에서는 까마귀라고도 부른다.
그밖에 기러기,갈매기,따오기,까치 등을 나타낸다고 생각되기도 한다.

이러한 솟대는 농경 마을을 사회 구성의 기초 단위로 했던 때부터 마을의 안녕과
수호를 맡고 농사의 성공을 보장하는 마을신의 하나로 성격을 굳혀 갔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솟대는 풍수지리사상과 과거 급제에 의한 입신양명(立身揚名)의 풍조가
널리 퍼짐에 따라서 행주형지세(行舟形地勢)에 돛대로서 세우는 짐대와 급제를
기념하기 위한 화주대(華柱臺)로 분화 발전되어 갔던 것으로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