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정확한 음정(pitch), 소리를 놓아야 할 자리에 정확히 놓아야 함. 2. 깊은 호흡과 좋은 울림(공명) 3. 밝고 가벼운 소리를 표본으로 해야 함. 4. 민첩한 attack이 있어야 하며, 한 음표 안에서 음질의 변화가 없어야 함. 5. 적당한 긴장감이 있어야 함. 6. 생명력있는 소리, 가볍게 뜬 소리, 흥분되면서도 살아있는 요소로 가득찬 소리, 매우 적극적이며 생기있는 소리, 표현력 있게 전달되는 소리에너지 있는 소리 7. 지나치게 크거나, 거칠거나, 뾰족한 소리는 금물 8. 단전에서 비롯된 호흡이 비강을 지나 머리 전체를 울려주는 소리. 이마, 코, 윗니로부터 가득한 공명을 가지고 나오는 소리. 목은 숨이 머리로 통해지는 단순한 통로로 생각되어야 하며, 긴장되어 있지 않아야 함(목에 지나친 힘을 주는 것은 금물, 단 호흡자체는 적절한 긴장이 필요함). 각 성부의 특징에 따른 유의점 》Soprano 1. 항상 서정성을 유지. 명료함과 탄력성을 지닌 젊은 신선함을 갖어야 함. 2. 모든 모음이 "아(Ah)"에 가깝게 수정되어야 함(Compromise). 입안의 넓은 공명 공간 확보 및, 밝은 소리를 유지하기 위함 임. 3. 어떤 경우에도 음량을 mp/mf 로 줄일 것. 4. f 또는 ff를 요구하는 악귀는 표시된 dynamic보다 한등급 낮추어 노래 할 것. 》Alto 1. 두성부(고음)와 흉성부의 음색 변화가 없을 것. 2. 항시 선율적이면서도 독창적인 접근을 할 것. 3. 무리함이 없는 부드러움과 분명하고도 초점이 있는 음정을 유지할 것. 4. 폭 넓고 어두운 alto 보다는 맑은 mezzo soprano를 추구할 것. 》Tenor 1. 무리한 긴장을 하지 않는 서정성을 가지고 노래 할 것. 2. 힘으로 보다는 생동감과 탄력으로 음량(voloume)감을 얻도록 할 것. 3. 중앙 C 위에서는 mf, E-flat 위에서는 mp, F 위에서는 p 등으로 dynamic 등급을 달리 조정할 것. 》Base 1. 자연스럽게 전방을 향하는 밝은 바리톤을 추구할 것. 2. 저음에서의 으르렁거림이나 고음에서의 소리 지르는 것 등을 피할 것. 좋은 합창을 만들기 위한 제언 1. 합창에서의 소리는 한마디로 모든 사람이 같은 소리를 내는 것(Blending)입니다. 2. 자음과 모음의 통일된 발음 소리를 통일 시키는데 발음의 통일이 우선이며, 가령 "아" 라는 모음을 노래 할 때 사람에 따라 수십가지의아" 가 나올 것임. 이 형형 색색의 "아" 를 하나로 통일 시켜야 함. 3. 음정과 pitch pitch는 호흡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음. 부적절한 호흡, 즉 들숨시에 상복부와 옆구리, 등 부위가 충분히 팽창되지 않을 경우 횡경막이 충분히 밑으로 내려가지 못하게 됨. 따라서 노래 할 때 호흡의 압력을 충분히 받지 못하게 되어 pitch가 떨어지게 되며 특히 고음을 지속적으로 낼 경우는 더욱 그러함. 목을 조여서 소리를 내거나 목 뒤편으로 눌러서 소리를 낼 때 일반적으로 pitch가 떨어짐. 4. 융합과 균형, 그리고 화음 융합(Blending)은 한 파트의 여러 사람 소리가 동일하게 나는 것을 의미하고, 균형(Balance)은 각 성부간의 균등한 배합을 의미함. 통일된 소리를 내기 위해선은 다른 사람의 소리를 들어야 하며, 화음을 느끼기 위해서는 다른 파트의 소리를 들어야 함. 자기 소리를 다른 파트에 비해서 어떻게 조절해야 할 까를 항상 생각하고 노래해야 함. 5. 철저한 분석에 의한 악상표현 악상표현은 악보에 적혀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악상기호 이상의 것을 발견하려고 노력해야 함. 예를 들어 어떤 연인이 편지를 받았을 때 그 편지에 있는 글을 읽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그 글을 쓴 연인의 모습을 생각하고 그 눈 빛을 그리며 사랑의 순간을 맛보는 것처럼, 어떤 곡을 대할 때, 그저 읽어 나가는 것이 아니라 그 작품의 맛을 어떻게 느낄 것인가를 연구해야 함. 6. 악곡의 형식과 스타일 교회음악의 유형만 대별해도 Missa, Motet, Magnificat, Passion, Anthem, Cantata, Oratorio, Polyphony, Choral, Gregorian chant, Madrigal 등 각 장르별로 개성있는 각기의 스타일이 있는가 하면, 바흐나 팔레스트리나, 모차르트 같은 작곡자 개개인의 독자적인 스타일이 있음. 또한 한국음악, 독일음악, 프랑스 음악등 민족 고유의 색깔이 있으며, 중세음악, 르네상스 음악, 바로크, 로코코, 고전, 낭만파 음악등 실로 수많은 유형의 음악들이 있음. 합창단은 이많은 유형의 음악을 각 특성에 맞게 연주하도록 공부하고 연습하여야 함. |
'~신자공동체~ > 성가대원 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기초이론("도"를 찾아서) (0) | 2007.04.26 |
---|---|
성가대원들의 참고사항 (0) | 2007.04.26 |
엠마오 란? (0) | 2007.04.11 |
그레고리안 성가의 우리말 녹음 (0) | 2006.12.16 |
낙엽처럼 살아온 (0) | 2006.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