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톨릭의 이해~/하느님 사랑

오늘의 복음

오늘의 복음 말씀은 마르코 복음 12,18-27까지 말씀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죽은 이들의 하느님이 아니라 산 이들의 하느님이시다.>

그때에

18 부활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두가이들이 예수님께 와서 물었다.

19 “스승님, 모세는 ‘어떤 사람의 형제가 자식 없이 아내만 두고 죽으면, 그 사람이 죽은 이의 아를 

    맞아들여 형제의 후사를 일으켜 주어야 한다.’고 저희를 위하여 기록해 놓았습니다.
20 그런데 일곱 형제가 있었습니다. 맏이가 아내를 맞아들였는데 후사를 남기지 못하고 죽었습니다.

21 그래서 둘째가 그 여자를 맞아들였지만 후사를 두지 못한 채 죽었고, 셋째도 그러하였습니다.

22 이렇게 일곱이 모두 후사를 남기지 못하였습니다. 맨 마지막으로 그 부인도 죽었습니다.

23 그러면 그들이 다시 살아나는 부활 때에 그 여자는 그들 가운데 누구의 아내가 되겠습니까? 일곱이

    다  그 여자를 아내로 맞아들였으니 말입니다.”
24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너희가 성경도 모르고 하느님의 능력도 모르니까 그렇게 잘못 생각

    하는 것이 아니냐?

25 사람들이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다시 살아날 때에는, 장가드는 일도 시집가는 일도 없이 하늘에 있는

     천사들과 같아진다.
26 그리고 죽은 이들이 되살아난다는 사실에 관해서는, 모세의 책에 있는 떨기나무 대목에서 하느님께서

    모세에게 어떻게 말씀하셨는지 읽어 보지 않았느냐? ‘나는 아브라함의 하느님, 이사악의 하느님, 야곱

    의 하느님이다.’하고 말씀하셨다.
27 그분께서는 죽은 이들의 하느님이 아니라 산 이들의 하느님이시다. 너희는 크게 잘못 생각하는 것이

    다.”

죽음 너머의 세상은 미지의 세계입니다.

 죽음이 마지막이 아니라는 것은 믿음의 영역입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의심합니다.

살아생전의 예수님께서는 죽음 이후의 삶에 대해 확신하고 계십니다.

그리고 당신께서 친히 부활하시어 죽은 다음의 삶을 보증해 주셨습니다.

부활이 없다면, 죽음으로 모든 것이 끝장이라면 우리 삶의 방식은 달라질 것입니다. 세상은 말할 수 없이 어지러워질 것입니다. 살아 있는 동안의 삶을 즐기고자 온갖 폭력과 음모가 판칠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직 세상에 정의가 있고, 법이 있고, 도덕 윤리가 살아 있는 것은 죽음 이후에도 여전히 삶이 있다는 사람들의 신념 때문입니다.

억울한 일, 부끄러운 일, 힘든 일 모두를 견디어 낼 수 있는 그리스도인들의 힘은

바로 부활이 있다는 믿음에서 비롯됩니다

 

'~가톨릭의 이해~ > 하느님 사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씀이신 하느님  (0) 2006.07.04
삶이 곧 기도입니다.  (0) 2006.06.18
평화를 얻는 길  (0) 2006.06.03
스스로 죄의 올가미를 씌우지 마세요  (0) 2006.05.10
"발씻김 예절"(성 금요일)  (0) 2006.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