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평화가 아니라 칼을 주러 왔다.>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0,34─11,1
그때에 예수님께서 사도들에게 말씀하셨다.
34 “내가 세상에 평화를 주러 왔다고 생각하지 마라. 평화가 아니라 칼을 주러 왔다.
35 나는 아들이 아버지와, 딸이 어머니와, 며느리가 시어머니와 갈라서게 하려고 왔다.
36 집안 식구가 바로 원수가 된다.
37 아버지나 어머니를 나보다 더 사랑하는 사람은 나에게 합당하지 않다.
아들이나 딸을 나보다 더 사랑하는 사람도 나에게 합당하지 않다.
38 또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르지 않는 사람도 나에게 합당하지 않다.
39 제 목숨을 얻으려는 사람은 목숨을 잃고, 나 때문에 제 목숨을 잃는 사람은 목숨을 얻을 것이다.
40 너희를 받아들이는 이는 나를 받아들이는 사람이고, 나를 받아들이는 이는 나를 보내신 분을 받아들이는 사람이다.
41 예언자를 예언자라서 받아들이는 이는 예언자가 받는 상을 받을 것이고,
의인을 의인이라서 받아들이는 이는 의인이 받는 상을 받을 것이다.
42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이 작은 이들 가운데 한 사람에게 그가 제자라서 시원한 물 한 잔이라도 마시게 하는 이는
자기가 받을 상을 결코 잃지 않을 것이다.”
11,1 예수님께서 열두 제자에게 다 지시하시고 나서,
유다인들의 여러 고을에서 가르치시고 복음을 선포하시려고 그곳에서 떠나가셨다.
오늘 예수님께서는 “평화가 아니라 칼을 주러 왔다.”고 말씀하십니다.
이 말씀을 깊이 새기고자 『성경』에서 칼이 뜻하는 의미를 살펴봅시다.
첫 번째로 아브라함의 칼입니다.
그는 하느님의 명령 때문에 외아들 이사악을 모리야 산에서 칼을 들어 찌르려고 하였습니다.
이때의 칼은 하느님의 말씀에 대한 순종으로 사랑하는 이를 포기하는 하나의 ‘결단’을 상징합니다.
두 번째로 할례의 칼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다른 민족들과 구분하려고 사내아이가 태어나면 칼로 할례를 합니다.
곧 깨끗하지 못한 것을 잘라 내어 하느님의 거룩한 백성이 되겠다는 다짐을 상징하는 것입니다.
이때의 칼도 하느님의 말씀에 대한 순종으로 하느님의 참백성이 되려는 하나의 ‘결단’입니다.
세 번째로 성모님의 칼입니다.
성모님께서 예수님을 성전에 봉헌하실 때 시메온은 ‘당신의 영혼이 칼에 꿰찔리게’ 된다고 예언합니다(루카 2,35 참조).
곧 예수님 때문에 겪게 되는 고통을 견뎌 내라는 말씀입니다.
마지막으로 칼의 의미를 아우르는 구절들이 있습니다.
칼이 하느님의 말씀을 상징한다는 것입니다.
“입에서는 날카로운 쌍날칼이 나왔습니다”(묵시 1,16).
“성령의 칼을 받아 쥐십시오. 성령의 칼은 하느님의 말씀입니다”(에페 6,17).
“하느님의 말씀은 살아 있고 힘이 있으며 어떤 쌍날칼보다도 날카롭습니다”(히브 4,12).
요컨대, 『성경』에서 칼이란 고통까지도 기꺼이 받아들이는 하나의 결단이며,
그 결단의 원인이 하느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평화가 아니라 칼을 주러 왔다.” 하신 말씀은,
예수님께서 하느님의 말씀을 전하시려고 오셨으니,
결단력을 가지고 하느님의 말씀을 지연이나 학연, 더 나아가 혈연보다도 우선시하라는 뜻입니다.
'~안토니오의 생각~ > 말씀살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어야 살리라. (0) | 2014.04.19 |
---|---|
[스크랩] TV 평화방송 - 황창연 신부님의 행복 특강 1회~28회 (0) | 2014.01.17 |
단식과 자선을 통한 영적 정화 (0) | 2013.02.14 |
하느님께서 기뻐하실 것만 찾으십시오. (0) | 2012.11.15 |
마음이 가난한 사람은 행복하다 (0) | 2012.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