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자공동체~/데꼴로레스!!

팀형성과 팀회합

* 팀 형성과 팀 회합의 기본 요소 *


  

  
1. 팀 회합 형성하기 (친구 만들기) 누구나 한 번쯤은 "12사도와 같이 진솔한 친구들이 있다면 멋진 신앙 생활을 할텐데"하고 생각하신 적이 있을 것입니다. 바로 그런 마음으로 팀을 구성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꾸르실리스따들은 내 주위에는 그럴만한 친구들이 없다고 단정하기 쉽습니다. 천만의 말씀입니다. 여러분 주위에는 12사도보다 훌륭한 교우들이 지천에 깔려 있습니다. 한 번 생각해보세요. 베드로 - 원래가 무식한 어부인데다 불같은 성질에 의지한 약한 자였습니다. 야고보와 요한도 같은 어부에다 자기들의 이익을 중시하는 자였습니다. 토마스는 매사에 의심을 하는 부정적인 인물이었습니다. 우리가 보는 기준으로는 그 중에 유다만이 재정에 능통하고 예리한 판단과 야심 있는 지도자형이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그들이 누구인가로 선발하지 않고 그 분 안에서 그들이 무엇이 될 수 있나? 로 선택을 하셨습니다. 마찬가지로 예수님은 우리 모두의 가능성을 보시고 그 분의 사도가 되라고 우리를 꾸르실료에 부르셨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내가 12사도가 될 수 있다면, 다른 교우들도 충분한 자질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여야 합니다. 그것을 깨달으셨다면 이제 팀을 구성할 친구를 구하는 것은 아주 쉽습니다. 이제까지의 문제는 내가 남을 판단하는 기준이 걸림돌이 되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 이제 팀을 함께 할 친구들을 머리 속에 떠올리십시오. 2. 본당에서 팀 형성하기 이왕이면 마음에 드는 친구들이 함께 한다면 더욱 좋겠지요. 팀원은 회합 시간상 5∼6명이 적합하며 그보다 적으면 공동체적인 힘이 없어지고 많으면 회합 시간이 길어집니다. 대개 한 시간 정도의 시간이 적합한 시간입니다. 1) 마음에 드는 친구들과 팀 회합하기 한번 주위를 둘러보십시오. 명색이 꾸르실리스따인데 맘에 드는 친구 5∼6명 정도는 있을 것입니다. 이제 그 친구들과 의논을 하십시오. 한 평생을 함께 해 보자고, 그리고 친구들이 망설인다면 한번 더 간청하십시오. '팀 회합은 꾸르실료 운동의 생명'이라고, 그러나 자유 의사에 맡기십시오. 여러분이 팀 회합을 하겠다는 결심을 한 그 순간 여러분은 이미 12사도 중의 한 사람이 되게 됩니다. 문제는 내가 먼저 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어야 합니다. 2) 본당별 현실을 감안하여 팀 회합 형성하기 인위적인 팀 구성은 약간의 문제는 있습니다만 팀 회합이 생활화되지 않은 우리 현실에서는 다른 대안이 없습니다. 그러나 때로는 그 분들이 팀 회합의 의미를 알면서부터 진지한 모습으로 바뀔 수 있고 또 새로운 형제들이 합류하여 틀을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조금은 인내가 필요합니다. 인위적인 팀 구성은 본당에서 영향력 있는 분 중 꾸르실료 운동을 잘 이해하고 계신 분을 축으로 팀을 구성하는 게 좋습니다. 3. 팀 형성의 기본 요소 1) 팀장 팀 회합의 기본적인 지식과 팀을 이끌어 갈 중후한 인물로 자신과 팀원의 성화를 염려하는 분이면 더욱 좋습니다. 팀 회합을 주관하며 본당 울뜨레야에서 팀을 대표합니다. 2) 총무 팀 회합일지 기록이나 팀원 연락, 회비 수납 등 전반적인 팀의 살림을 맡아 할 시간적 여유가 있는 분이면 좋습니다. 3) 팀명 성인 명이나, 팀장 세례명, 또는 요일을 따서 월요팀, 화요팀 등을 정합니다. 팀명을 정하면 소속감을 줍니다. 4) 일정한 시간과 일정한 장소 진솔한 나눔에 지장이 없다면 언제, 어느 곳이든 좋습니다. 그러나 매주 일정한 시간과 장소를 정하면 그 팀은 쉽게 자리를 잡습니다. 또한 본당에서 회합을 하면 영적 지도를 받기가 쉽습니다. 4. 팀 회합의 기본 요소 1) 매주 팀 회합을 하여야 합니다. (정규성) 팀 회합은 매주 성찰과 나눔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바쁘다는 이유로 한 달에 한번 또는 두 번씩 모이는 것은 변형된 그룹재회이지 꾸르실료에서 추구하는 팀 회합은 아닙니다. 2) 진솔한 모임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십시오 (정직성) 팀 회합은 주님을 모시고, 주님 앞에서 한 주를 성찰하고 복음화의 의지를 다지는 사도들의 시간입니다.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진솔한 나눔을 하십시오. 3) 회합에서 나눈 내용은 보안을 유지합니다. (보안성) 팀 회합은 개인 성찰이 있기 때문에 회합에서 나누어진 개인적인 나눔은 절대로 비밀을 유지하여야 합니다. 4) 지속적인 만남으로 자신과 동료들의 변화를 이끌어 주어야합니다. (지속성) 5) 먼저 자신의 내면을 드러낼 수 있도록 서로 친교를 이루는 우정의 그룹이 되어야 합니다. 머지않아 다른 어떤 친구들보다 믿음이 가는 그런 모임이 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팀 회합은 본당 울뜨레야의 기초라는 것을 잊지 마시고, 울뜨레야에서 결의된 제반 사항을 솔선해서 지키며, 함께 노력해야 합니다. 또한 적합한 후보자 물색에 항상 관심을 갖고 동료들과 의견을 나누시기 바랍니다. 5. 팀 회합할 때의 유의할 점 팀 회합은 주님 앞에서 나를 드러내는 것입니다. 1) 시작기도부터 주님을 의식하는 훈련을 합니다. 2) 실천표 점검은 내가 드린 약속을 성찰하는 것입니다. 3)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입니다. 팀 회합은 듣는 기술과 영신식별을 훈련합니다. 1) 타인의 나눔에 대하여 침묵으로 듣기만 합니다. 2) 어느 한 사람이 회합을 독주하지 않도록 합니다. 3) 타인의 나눔에 의견을 달지 않습니다. 자신이 실제로 생활한 것을 증거 하는 것입니다. 1) 나눔은 성서지식이나 자신을 드러내는 나눔이 아니라 자신이 느낀 것을 체험 위주로 간단 명료하게 말합니다. 2) 복음화는 사도적 열망으로 살아온 모든 것을 포함합니다. 실천표 점검과 나눔이 팀 회합의 전부가 되어야 합니다. 1) 팀 회합 시 복음 나누기나 성서 공부 및 영적 독서 기타 자료 연구, 같은 것을 하는 것은 더 이상 팀 회합이 아닙니다. 2) 크리스찬 형성을 목적으로 공부를 한다해도 팀 회합 시간에는 삼가 해야 합니다. 왜나 하면 팀 회합은 이미 그러한 우리의 모든 노력을 주님 0앞에서 점검하는 시간이기 때문에 유익한 공부는 별도로 하여야 합니다. 먼저 서로 친구가 되어 우정의 공동체가 되도록 합니다. 사도의 시간이나, 십자가의 길, 피정 등과 같은 영적 성장을 위한 공동기도와 친교의 시간을 별도로 계획합니다. 6. 효율적인 팀 회합 운영하기 팀 회합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간사님이나 팀장님의 각별한 관심과 지도가 필요합니다. 팀장들은 아래 내용을 참조하여 즐겁고 유익한 팀 회합이 되도록 이끌어 주시기 바랍니다. 팀 회합 이끌어 가기 1) 한 번에 한 사람씩 말해야 한다. 2) 모든 사람이 말할 기회를 가지게 한다. 3) 듣는 기술을 권장하라. 4) 주제를 이탈하거나 논쟁하지 말라. 5) 모든 이의 견해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라. 6) 팀장이나 팀원 누구도 전문가나 선생이 되지 말라. 7) 제 시간에 시작하고 시간 내에 끝내라. 8) 회합에 오기 전에 성찰과 나눔을 준비하라. 팀 운영과 팀 동료 사이 1) 서로를 존중하고 격려하는 친구가 되라. 2) 항상 기도하는 모임이 되게 하라. 3) 팀원들의 변화에 주목하라. 4) 무리한 계획이나 요구를 하지 마라. 5) 형식에 치우치지 않게 하라. 6) 즐겁고 유익하게 하라. 7) 나눔은 한 주간에 있었던 것을 나눈다. 8)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분담을 하라. 9) 우정의 나눔 시간을 자주 가져라. 10) 영적 지도자를 모셔라.
- 서울대교구 꾸르실료 사무국 기획 홍보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