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토니오의 생각~/우리문화엿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크랩] 상례,기타에 관한 질의 응답 상례, 기타 고례의 상례 복례(喪禮 服禮)에 상장(喪杖)을 왜 짚으며, 대나무, 오동나무 또는 버드나무로 만드는 까닭은 무엇입니까? 대개 아버지의 상을 당해서 입는 참최복(斬최服)에는 대나무 지팡이를 짚고, 어머니의 상을 당해서 입는 자최복에는 오동(桐)이나 버들(柳)로 된 지팡이를 짚습니다. 부.. 더보기 토속신앙과 성 토속신앙과 성 우리 나라에는 기자신앙(祈子信仰)에서 비롯한 토속신앙의 흔적을 여러 곳에서 볼 수 있으니 남근(男根)이나 여음(女陰)과 비슷한 암석(岩石)이다. 더불어 재앙(災殃)이나 병마의 퇴치를 기원하는 주술목적(呪術目的)으로도 추앙되어오고 있기도 하였습니다. 전라도 정읍(井邑) 백암리(.. 더보기 [스크랩] 드라마 주제곡/전우 라시찬이라는 배우가 있었다. 구릿빛 얼굴에 서글서글한 인상. 강직해 보이는 심성. 70년대 그를 지켜보았던 사람들은 그를 인간미 넘치는 군인의 표상으로 기억한다. 그 모습으로 한껏 인기를 모은 직후, 서른일곱 나이로 요절해 더더군다나 안타깝게 남아있는 배우. 만일 <전우>라는 드라마가 없.. 더보기 그 집 남편은 일식이야, 삼식이야?" 급증하는 '젊은 노인'들에게 일할 권리·놀 권리 찾아줘야 박은주 엔터테인먼트부 부장 그 집 남편은 일식이야, 삼식이야?" 요즘 은퇴한 남편과 사는 아주머니들이 이런 말을 주고받는다고 한다. "어, 우리 집은 삼식이지 뭐야", "우린 무식인데", "정말 복 받았네." 일식, 삼식이란 집에서 밥을 먹는 횟.. 더보기 (펌)우리 상여에 관한 글 글쓴이: 단청“풍경소리” 조회수 : 29 06.09.19 14:11 http://cafe.daum.net/AAATOP/NF3a/78 한참 자료를 뒤적거리다 뜻밖에 한동안 까맣게 잊고 있었던 풍경들을 오랜만에 보았다. 여러 해 전에 국립민속박물관에서 담아놓은 것들인데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자니 혼자 보고 덮어두기가 아쉽기도 하고 나름대로 느끼.. 더보기 해설<"삼족오"> iMBC에 나오는 '주몽' 드라마 홍보 이미지 요즘 '삼족오(三足烏)'가 TV드라마와 신문, 인터넷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 우리말로 직역하면 '세발 달린 까마귀'이다. 우리나라에서 까마귀는 흉조로 알려져 있는데, 발까지 정상이 아닌 세개가 달렸다고 하니 기괴한 일이다.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불길한 징조.. 더보기 ‘다문화 가정 e-배움’ 회원 1만명 넘어 ‘다문화 가정 e-배움’ 회원 1만명 넘어 문화일보 | 기사입력 2008.05.14 14:38 한국 남성과 결혼한 여성 이주자들에게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온라인으로 가르치는 '다문화가정 e-배움 캠페인' 참여 회원이 1만명을 넘어섰다. 13일 한국디지털대 관계자에 따르면 이날 현재 온라인 강의 수강을 위해 캠페인 .. 더보기 촌수 따지는 법 촌수 따지는 법 남 자 (直系) 5촌 현조부 (玄祖父) | 4촌 6촌 고조부 (高祖父) 종고조 (從高祖) | | 3촌 5촌 7촌 증조부 (曾祖父) 증조 (從曾祖) 재종증조 (再從曾祖) | | | 2촌 4촌 6촌 8촌 조부 (祖父) 종조 (從祖) 재종조 (再從祖) 3종조 (三從祖) | | | | 1촌 3촌 5촌 7촌 9촌 부 (父) 백숙부 (伯叔父) 종백숙부 (從伯叔.. 더보기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