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토니오의 생각~/우리문화엿보기

6월 유두 6월은 늦여름으로서 소서(小署)와 대서(大署)의 절기로서 무더위 가 기승을 부리는 삼복(三伏)더위가 대개 이달에 들어있습니다. 6월 은 대체로 비가 많이 오는 적기로 앉은 방석도 옮기지 않는다고 하여 이사가는 일등을 꺼려햇습니다 . ▶유두(流頭) 6월 15일은 유두일이라고 하는데 유두란 동유두목욕.. 더보기
가훈으로 적절한 문구(한문,한글) 가훈으로 적절한 문구(한문) 博愛 박애 널리 사랑하라 中庸 중용 치우치지 않도록 明德 명덕 덕을 밝힘 日新 일신 날로 새롭게 樂則安 락즉안 즐거우면 편안할 수 있다 靜中動 정중동 조용한 가운데의 움직임 信望愛 신망애 믿음.소망.사랑 眞善美 진선미 참되고 착하고 아름답게 知仁勇 지인용 지혜 .. 더보기
아름다운 열두 달 우리말 이름 아름다운 열두 달 우리말 이름   1월 해오름 달 - 새해 아침에 힘 있게 오르는 달   2월은 시샘 달 - 잎샘추위와 꽃샘추위가 있는 겨울의 끝 달   3월은 물오름 달 - 뫼와 들에 물오르는 달   4월은 잎 새 달 - 물오른 나무들이 저마다 잎 돋우는 달   5월은 푸른 달 - 마음이 푸른 모든 이의 달   6월은 .. 더보기
[스크랩] 제사 지내는 순서 제목 : 제사 행사 순서(祭祀行事順序) 出典:1985, 청암출판사, 신구가정의례백과 (1)강신(降神) - 강신이란 신위께서 강림하시어 음식을 드시기를 청한다는 뜻이다. 이에 앞서 제주가 신위를 모셔오는 뜻으로 대문 밖에 나왔다가 들어오며 제사를 마친 후에는 다시 신위를 전송하여 대문 밖까지 나갔다 들.. 더보기
절기해설-청명(淸明) 청명(淸明) 24절기의 다섯 번째 절기. 음력 3월 절기이며, 양력 4월 5, 6일경이 됩니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15도에 있을 때입니다. 이날은 한식의 하루 전날이거나 같은 날일 수도 있습니다. 춘분과 곡우 사이에 있습니다. 이날에 식목일 겹치는 것이 보통인데, 날이 풀리고 화창하여 일년 중 식목에 가장.. 더보기
입춘-野田선생의 글에서 입춘(立春) 입춘은 24절기 중의 첫 번째 절기입니다. 음력 1월, 양력 2월 4일경이며, 태양의 황경이 315°에 와 있을 때인 봄으로 접어드는 절후이며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습니다. 봄이 시작되는 계절이지만 아직 추위가 강합니다. 입춘 15일간을 5일씩 3후(候)로 갈라서, 초후(初候)에는 동풍.. 더보기
잊혀져가는 옛날 말들 제 1훈 : 弗亞弗亞(불아불아) 동작 : 할아버지 할머니들은 어린이의 허리를 잡고 세워서 왼편과 오른편으로 기우뚱 기우뚱하면서 '부라부라' 라고 부르며, 귀에 들려주십니다. 弗(불)은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온다는 뜻이고, 亞(아)는 땅에서 하늘로 올라간다는 뜻을 말하며,'弗亞弗亞' 는 사랑으로 땅에 .. 더보기
담장이 가져온 평화 ▶ 담장이 가져온 평화 ◀ 이웃들간의 싸움으로 시끄러운 도시가 있었습니다. 그곳에 새 시장이 취임했습니다. 취임식 때 전임 시장은 씁쓸해 하며 그에게 말했습니다. "저들의 싸움을 멈추는 것만으로도 당신은 성공한 지도자가 될 것입니다." 시장은 업무를 인계 받자마자 도시의 곳곳을 돌아다니기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