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자공동체~/데꼴로레스!!

꾸르실료 운동의 이념적 배경

꾸르실료 운동의 이념적 배경

 

꾸르실료 운동의 이념적 근원이 되는 기본 사상을 9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것을 이겨낸다는 의미의 크리스찬 신앙의 개념은 모든 인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지전능한 것으로서 진실되고 완벽한 것이다. 이것은
크리스찬이란 이름만을 도용한 채 부 르주아적이고, 정적이고, 순종적이며, 무력한 가짜라고 생각한 관념과는 반대되는 것이다.

둘째, 활동적인 가톨릭 신앙에 대한 동적인 시각 : 이 같은 시각에서 사도직은 부수적인 어떤 것이 아니라 사활에 관계되는 필요성을 지닌 것이라고 여겨진다. 이 필요성은 관료 조직으로는 전혀 해결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사도직은 하느님 왕국의 결정적인 선봉이 되고 살아 움직이 는 교회의 누룩이 된다
.

셋째, 정직하고 강직하며 희망에 찬 활동성의 출발점 : 이것은 어떤 효과적인 활동을 할 수 있 는 유일한 출발점이며, 다양하고 더 크게 달성할 수 있게 하는 마르지 않는 근원이다
.

넷째, 현대인들의 실상과 그들이 안고 있는 문제 및 고뇌들에 대한 깊고 정확한 지식 : 그것은 판에 박은 공식에서 끌어내거나 "간단하고 실용적인 소책자"에서 얻어낸 것이 아니라 삶 자체안 에서 터득한, 복음의 누룩이 살아 숨쉬는 반죽덩어리와 같이 자기의 삶을 속속들이 혼합함으로 써 터득하게 되는 삶과 체험으로 얻는 지식이다
.

다섯째, 모든 사도직 활동의 기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어떤 방법들에는 비능률성이 나 부적합성이 있다는 깊은 신념 : 이 신념은 실의에 빠져 어떤 방법을 그만두거나 운명에 맡겨 버리는 것이 아니라 이미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 어떤 것이든 그것을 소생시키고 효과적인 새 지 평을 찾는 데 더 큰 관심을 갖는 것이다
.

여섯째, 신앙 생활을 가까스로 유지하는 사람들이 은총의 강력한 충격을 정말로 느낄 수 있다는 확고한 신념 : 이 신념은 아무리 그리스도와 멀리 떨어져 있던 사람들이라도 그리스도와 그리스 도의 교회에 대한 진리들을 사실 그대로 알려주면, 역시 그들 자신을 전적으로 그리스도께 바칠 수 있다는 신념이다. 이것은 개인적인 선호나 판단의 뿌리가 아무리 깊더라도 그것을 저버리기 를 요구한다. 이런 것들은 결국 부수적인 요소들에 불과한 것이다
.

일곱째, 이러한 체험을 하게 되면 그리스도의 시대에 일어났던 것과 똑같은 일이 일어날 것이라 는 확고한 기대 : 그것은 우리 시대의 사마리아 여인과 자캐오가 회개하여 주님의 가장 활발한 제자들이 될 것이라는 기대이다
.

여덟째, 이 같은 목표를 구체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어떤 기법을 찾아내려는 지속적인 노력 : 이 기법은 사도들이 사용했던 방법들을 모방하여 각자의 개인적인 문제들과 특별한 요구들을 참작 하는 것이다. 그 목적은 그 사람의 모든 인생에 영향을 주는 권능과 힘으로 받아들여진 그리스 도와 그분의 은총에서 나오는 어떤 해결책을 가지고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는 것이다
.

아홉째, 그 해결책은 간단하기 때문에 보편적이라는 신념 : 꾸르실료에서 살아야 할 삶은 가톨 릭 신앙에서 나오는 보편성이다. 서로 다른 목적을 향해 출발했을지라도 다양한 계층과 문화가 하나의 같은 해결책을 가지고 같은 분위기 속에서 한데 어울리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