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자공동체~/데꼴로레스!!

기도는 어떻게 하는가?


∼ 기도는 어떻게 하는가? ∼

     




    모든 수도자들은 기도에 박사가 되어 있어야 하는 것이 사실이나,

    나는 그렇지 못해 항상 바램으로 숙제를 남기곤 한다.

    조금 초급을 넘어 섰는가 하고 허리를 펴 걸어 온 발자욱을 세어 보면

    아직도 제자리걸음으로 동동거리고 있다.

    다시 목을 추기고 배낭 속에 양식을 준비해 걸음을 재촉하면서

    넘어지고, 밟히고, 상처받으면서 다시 살아오나 또 제자리인 듯 느끼는

    나 자신!

    이런 것을 반복하다 보면 자기 안에 지쳐 쓰러져

    손 하나 까딱하기 힘들 정도에서 하느님 안에 자신을 발견한다.

    그제야 묻게 된다.

    "당신을 만나려면 어찌해야 되는지요?"

    물음의 답은 너무도 부드럽고 조용하게 들려오기에

    조금만 소란해도 들리지 않는다.

    "네가 가장 좋아하는 옷을 입으라." 고 하신다.

    그 옷은 성모님이 예수님 어릴 적부터 십자가 밑에까지 입고 걸으셨던

    "겸손의 옷" "믿음의 옷" "순종의 옷"을 입고 나오면 만날 수 있단다.
    (Ⅰ베드로 5,5∼10)

    그 옷을 기워 입으려 하니 많은 유혹이 따라 온다.

    세상적인 체면 앞에 바보처럼 보일 것 같은 인간,

    본능에서의 갈등, 이성으로 이해되는 한도 내에서만 받아들이고

    인정하려 하는 앎의 장애와 그 분 뜻이 내 상식(양식)으로

    이해되어 제대로 모양을 갖추지 못하는 옷들의 혼돈을 가져와

    옷을 입기는커녕 기우는데도 결국에는 실패하고 만다.

    이젠 큰 소리로 탄원한다.

    "아무리 해도 저의 힘으로는 당신이 요구하는 옷을 갈아입을 수가 없습니다."

    주님, 저를 도와주십시오.

    우리는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써 지금의 은총을 누리게 되었고,

    또 하느님의 영광에 참여할 희망을 안고 기뻐하고 있습니다.

    그 뿐만 아니라,

    우리는 고통을 당하면서도 기뻐합니다.

    고통은 인내를 낳고,

    인내는 시련을 이겨내는 끈기를 낳고,

    그러한 끈기는 희망을 낳는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희망은 우리를 실망시키지 않습니다. (로마 5,1∼5)

    사도 바오로의 확신에 찬 음성을 듣고 예수님 앞에 나와 있노라면

    마음이 조용해지면서 무겁게 느껴지던 짐들이 가벼움을 준다.

    말씀의 체험은 한없이 아름다운 무지개를 보게 하며 말씀을 살도록 이끈다.
    (야고보 1,19∼27)

    아! 그래서 옛 성현들이 말하기를

    기도는 공식도, 방법도 없다고 말씀하셨구나,

    계속적인 실기로써 터득하는 체험과목임을...," 



    피아니스트가

    건반을 계속 두드리면서 익혀야 만이 아름다운 곡을 연주하듯,

    이젠 장소에 구애됨 없이 하느님을 만날 수 있음을....,

    틀 속에서가 아닌 모든 이들 안에서 그 분을 만나는 것을....,

    세상 모든 사건 속에서 하느님을 만나면서 사도 바오로의 말씀으로 마칩니다.

    "나는 행복한 마음으로 여러분을 위해서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그리고 나는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를 위해서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을 내 몸으로 채우고 있습니다.

    나는 여러분에게 하느님의 말씀을 남김없이 전하는 사명을

    하느님께로부터 받고 교회의 일꾼이 되었습니다.


서울대교구 여성 제84차 

박 진 녀 (마리아) 수녀
 
9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