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토니오의 생각~/우리문화엿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크랩] 아리랑, 故 김산 아리랑 님 웨일즈 지음 조우화 옮김 동녘1984년 이 책을 사서 읽은 지 20여년 만에 다시 읽었다. 20대 젊은 혈기로 읽어낸 이 책에서 나는 한 혁명가의 투쟁속에 도도히 흐르는 역사를 보았다, 그로부터 20년 세월이 흐르고 불혹의 나이를 넘어서려는 지금 다시 읽은 이 책에서 나는 이념의 .. 더보기 [스크랩] 경복궁 경복궁 경복궁(사적 제 117호) *북궐은 경복궁의 별칭으로 고종때 제작된 북궐도형을 근거로 한 조감도* 경복궁(景福宮)은 조선의 정궁(正宮)이다. 조선의 태조는 1392년 7월 개성의 수창궁(壽昌宮)에서 왕위에 즉위하여 조선을 건국하고 수도를 옮기기로 결정하였다. 그리하여 태조 3년(1394).. 더보기 조선 왕릉(朝鮮 王陵) 조선 왕릉(朝鮮 王陵) 한국의 조선시대(1392~1910) 왕실과 관련되는 무덤은 ‘능(陵)’과 ‘원(園)’으로 구분된다. 왕릉으로 불리는 능(陵)은 ‘왕과 왕비, 추존된 왕과 왕비의 무덤’을 말하며, 원(園)은 ‘왕세자와 왕세자비, 왕의 사친(私親)의 무덤’을 말한다. 조선시대의 왕릉과 원은 .. 더보기 계절,절후,일별,월별 낙관례 춘(春) 청양(靑陽) 창천(蒼天) 청제(靑帝) 청황(靑皇) 동제(東帝) 동군(東君) 하(夏) 주명(朱明) 호천(昊天) 괴서(槐序) 염서(炎序) 염절(炎節) 번계(蕃季) 추(秋) 백장(白藏) 민천(旻天) 수성(收成) 금상(金商) 소상(素商) 고상(高商) 정양(精陽) 동(冬) 상천(上天) 현영(玄英) 엄절(嚴節) 원동(元冬.. 더보기 영등할망 바람의 신을 맞다. 영등할망 바람의 신을 맞다. <출처:다음 블로그"섬지기꽃"에서> 음력 2월초하루 영등할망의 제주입도를 환영하는 영등환영제(제주시수협어판장) 제주에서 영등할망은 풍신(風神:바람신)이며 풍농신(豐農神)이다. 영등할망은 육지의 해안 지방에서는 풍신(바람신)으로서의 개념이.. 더보기 바람의신-영등 <바람을 몰고 있는 영등 여신> 우리나라에 아직까지 남아 있는 영등(바람의 신)을 모시는 큰 굿인 영등굿을 하는 곳이 있다. 3월은 음력으로 2월, 우리 조상들은 이 달을 영등맞이를 하는 ‘바람달’ 또는 ‘영등달’이라고 불렀다. 2월 초하루 오전 1시경에 바람의 여신인 영등이 하늘.. 더보기 설 명절의 유래 및 풍습 ♣ 설 명절의 유래 및 풍습 ♣ <설날의 의미> 설(음력 1월 1일)이란 몸과 마음을 차분하게 가지고 몸과 마음가짐을 조심한다는 뜻이예요. <설의 유래> 설은 한해가 시작되는 첫날 음력 1월1일이 설날이다. 설이라는 말은 '사린다',사간다에서 온 말로 조심한다는뜻이라고 한.. 더보기 "살아 진천, 죽어 용인" 1.우리나라 속담에 살아 진천, 죽어 용인이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의 어원과 현재에는 어떤 뜻으로 쓰이는지를 밝혀라. 답: 본뜻:나이도 같고 이름도 같은 진천 사람하고 용인 사람이 한날 한시에 죽었다 두 사람이저승에 가니 저승 사자가 아직 때가 안되었다고 하며 용인 사람을 .. 더보기 이전 1 2 3 4 5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