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공동체의 구체적인 선교방안, 방법
'어떻게 하면 선교를 잘 할 수 있을까' 많은 신자들이 선교를 하고 싶어도 그 방법을 몰라 망설이는 경우가 많다. 서울대교구, 인천, 마산교구 소공동체 운동 자료집을 토대로 소공동체 선교운동의 구체적인 방안을 정리, 제안한다.
1. 준비단계
(1)선교대책 논의 : 소공동체 모임에서 친교는 잘 이루어 지지만 그 친교가 선교로 연결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소공동체 모임에서 선교의 중요성, 문제점, 어려움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대책을 논의한다. (2)선교체험사례 발표 : 적극적으로 선교하는 소공동체장이나 신자를 초대해 증언을 듣는다. (3)기도 : 소공동체별로 '선교 기도문'을 바친다. (4)선교대상자 선정 : 각 소공동체 별로 선교 대상자를 정한다. (5)쉬는 신자 명단 확보와 전담자 선정 : 구역내 쉬는 신자 명단을 확보해 전담자를 배정한다. (6)선교 자료 확보 : 선교 리플렛과 안내책자 등을 확보한다.
2. 실행단계
(1)소공동체 선교 파견식 : 각 소공동체 차원에서 본당 사목자가 정해준 양식에 따라 선교 파견식을 갖는다. (2)준비단계에서 결정한 내용에 대한 실천 : 쉬는 신자를 방문하고 예비신자 확보에 나선다. (3)기도운동 지속 : 소공동체별로 금식기도를 시작하고 고리기도 등을 계속 진행한다. (4)선교 포스터 부착 : 골목, 집 앞, 아파트 게시판 등에 선교포스터를 부착한다. (5)선교활동사항 기록 : 소공동체는 선교운동의 현황과 문제점, 건의사항등을 일일이 점검한다. 또 소공동체 별로 선교활동 보고서를 작성해 본당에 제출한다. (6)방문선교 : 두 명씩 짝을 지어 선교 대상자와 쉬는 신자 가정을 3회 이상씩 방문한다.
3. 총력단계
(1)선교운동에 매진 : 모든 소공동체원들이 선교운동에 총력을 기울인다. (2)소공동체 9일기도 : 선교운동의 좋은 결과를 청원하며 9일기도를 실시한다. (3)선교 대상자 집중 권면 : 각 소공동체장은 별도로 집중 선교 대상자를 정한다. (4)본당 주임 신부 사목 서신 발송 : 입교 대상자와 쉬는 신자에게 본당 사목자의 사목 서신을 발송한다. (5)거리선교 : 각 소공동체별로 거리선교를 실시한다. (6)예비신자 봉헌서 작성 : 그동안 방문했던 선교 대상자를 다시 방문하며 예비신자 봉헌서나 자기 소개서를 받는다.
4. 결실단계
(1)본당 주임신부 2차 사목 서신 발송 : 입교가 확정된 사람들에게 사목자의 서신을 다시 한번 발송한다. (2)입교자 보살핌 : 자기소개서 또는 예비신자 봉헌서를 작성한 사람을 계속해서 친절과 사랑으로 돌본다. (3)예비신자 교리준비 : 예비신자 교리와 교리 중 보살핌에 대해 철저히 준비한다.
5. 마무리 단계
(1)감사기도 : 소공동체별로 9일기도를 한다. (2)선교결과 평가 : 소공동체 모임에서 선교활동 결과를 종합, 평가하고 성공사례를 수집해 선교추진위원회에 보고한다.
6. 보살핌 단계
(1)소공동체 교리반 : 본당 결정에 따라 가능하면 소공동체 단위로 예비신자 보충교리를 한다. (2)환영 : 예비신자를 소공동체 모임에 초대해 환영식을 베풀고 소공동체장의 책임하에 잘 보살핀다. (3)가정방문 : 예비신자의 가정을 자주 방문한다. (4)교리반, 주일미사 동행 : 신자들이 예비신자와 함께 교리반이나 주일미사에 동행한다. (5)대부모 주선 : 교리를 받고 있는 도중에 미리 대부모를 선정하는 것도 좋다. (6)공동체 체험 : 예비신자들이 영세 전부터 소공동체 생활을 함께 하며 소공동체에 유대감을 갖도록 한다. |
'~신자공동체~ > 복음화 자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공동체 선교 활동 (0) | 2008.03.11 |
---|---|
선교하며 받은 질문에 대한 답변 (0) | 2008.03.11 |
정진석 추기경님께서 하신 말씀중에서...(옮김) (0) | 2008.01.20 |
교회·성당서 문화강좌 들으세요” (0) | 2008.01.05 |
[스크랩] 냉담신자 원인분석과 해소방안 (0) | 2007.10.27 |